불분명한 원산지 표기와 불법 첨가물 등 좀처럼 가시지 않는 먹거리 불안감이 주부들의 식품 선택기준을 시크하게 만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되는 고물가와 경기불황 역시 주부들의 먹거리 선택을 깐깐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최근 전국에 거주하는 주부 500명을 대상으로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고, 먹거리 불안에 따른 소비행태 변화로 ‘시크’(C.H.I.C), 즉 ‘신뢰’(Credible), ‘건강’(Healthy), ‘저비용’(Inexpensive), ‘간편’(Convenient)을 제시했다.

‘도도한’, ‘세련된’이란 뜻의 ‘시크(chic)'는 보통 패션쪽에서 주로 쓰이는 용어지만 최근에는 까다롭고 콧대 높은 성향을 지칭할 때도 많이 쓰인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소 먹거리에 불안감을 느끼는지에 대해 응답자의 39.2%가 ‘그렇다’고 답했고, <‘보통’ 45.0%, ‘그렇지 않다’ 15.8%> 불안감을 느끼는 이유는 ‘원산지, 유통기한의 위장·허위표시’(25.9%), ‘첨가물·착색료’(25.4%), ‘유전자 변형식품’(15.0%) 등을 차례로 들었다. <‘수입식품 안전’ 11.2%, ‘잔류농약’ 9.5%, ‘이물질 혼합’ 6.4%, ‘기타’ 6.6%>

국내에서 유통되는 수입식품의 안전에 대해서도 ‘불안하다’는 답변이 57.8%로 ‘안전하다’는 답변을 크게 웃돌았으며, <‘보통이다’ 35.8%, ‘안전하다’ 6.4%> 이런 이유로 ‘수입식품보다 국산품을 더 많이 구입한다’는 주부가 70.2%에 달했다. <‘그렇지 않음’ 5.6%, ‘보통’ 24.2%>

서울 성북동에 사는 주부 A씨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산지를 꼭 확인하는 버릇이 생겼다”며 ”이제 먹거리를 선택하는 첫 번째 기준은 가격이나 양을 고려하기 보다는 가족이 믿고 먹을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제품을 먼저 찾고 있다“고 말했다.

무농약·유기농식품 등 가족들의 건강을 챙기려는 주부들도 점점 늘고 있었다.

‘3년 전에 비해 무농약·무항생제식품 구매를 늘렸는지’를 묻자 주부 3명중 1명이 ‘늘렸다’(35.2%)고 답했고,<‘비슷’ 45.0%, ‘그렇지 않다’ 19.8%> ‘국내 유기농 농산물 구입을 늘렸다’는 응답도 30.8%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비슷’ 43.0%, ‘그렇지 않다’ 26.2%>

고물가 행진과 경기불황 탓에 값이 저렴한 가공식품 구매가 늘어나는 등 주부들의 ‘짠물소비’ 경향도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국내 식품물가수준에 대해 대다수의 주부들이 ‘높은 편’(90.2%)이라고 생각하는 가운데, <‘적당함’ 8.2%, ‘낮음’ 1.6%> 최근 3년간 전체 소비지출에서 식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했다‘(49.6%)는 응답이 절반이 나왔다. <‘비슷’ 38.6%, ‘감소’ 11.8%>

이에 따라 주부 10명중 6명은 “가급적 저렴한 상품을 구입하고 있다”(64.0%)고 답했고, 3명중 1명은 “신선식품보다 가격이 저렴한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일이 잦아졌다”(34.1%)고 답했다.

서울 잠원동에서 자영업을 하고 있는 주부 B씨는 “식품값이 갈수록 오르다보니 한 끼 식사를 차리는데도 예전보다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있다”며 “예전보다 가벼워진 장바구니를 저렴한 가공식품이나 유통업자체브랜드인 PB상품으로 채워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고물가와 경기불황은 가족의 핵가족화 추세와 맞물려 간편식품의 소비를 늘리고 있었다.

조리가 간편한 가공식품 소비량을 3년 전과 비교한 질문에도 ‘늘었다’(37.8%)는 응답이 ‘줄었다’(25.6%)는 응답보다 많았고, <‘비슷’ 36.6%> 가공식품 소비량을 늘린 이유로는 ‘조리가 편해서(61.9%)’, ‘시간절약을 위해(37.6%), ‘신선식품보다 가격이 저렴해서’(25.4%) 등이 꼽혔다. <복수응답>

대한상의는 “최근 편의점 도시락 매출이 급증한 사례처럼 경기불황이 지속되면서 주부들의 장바구니에도 값이 저렴하고 간편하게 끼니를 때울 수 있는 가공식품 비중이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주부들은 식품 안전성의 책임주체로는 ‘제조업자’(46.8%), ‘정부의 관리감독’(35.8%), ‘판매업자’(10.6%), ‘소비자’(4.4%)를 차례로 꼽았고, <‘기타’ 2.4%> 식품 안전성 제고를 위한 개선과제로는 ‘원재료·품질에 대한 책임’(75.2%), ‘철저한 위생관리’(69.8%), ‘생산자에 대한 지도강화’(49.0%) 등을 차례로 지적했다. <‘사고발생시 신속한 공표·회수’ 47.8%, ‘소비자에 대한 정보제공’ 44.2%>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후쿠시마 원전 피해지역 해산물과 중국산 짝퉁 먹거리 문제 등으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며 “FTA 본격화로 이러한 제품 원산지 문제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정부는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 관리체계를 한층 강화하고, 기업들은 식품이력추적관리 제도 등을 확대해 소비자 불안을 해소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