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5000여 명에 달했으며, 이들의 생존율은 7.8%로 이는 전년대비 0.8%p 증가한 것이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13일 ‘제12차(2023년도)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2022년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환자 3만여 명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22년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3만5018명(인구 10만명당 68.3명) 중 남자(63.9%)가 여자(36.1%)보다 많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발생 환자가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70세 이상의 발생이 전체의 53.9%를 차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발생이 전체의 78.3%를 차지했으며, 추락, 운수사고 등 질병 외인으로 인한 발생이 20.9%로 나타났다.

장소별로는 공공장소보다 비공공장소에서 많이 발생(64.5%)했는데, 특히 가정에서의 발생이 1만5587건(44.7%)으로 가장 많았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병원을 방문해 의무기록조사까지 완료한 환자는 3만4848명이었으며, 이 중 2701명이 생존해 생존율은 7.8%로 전년도(7.3%) 보다 0.5%p 개선됐다. 또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환자는 1774명으로, 뇌기능회복률(5.1%)도 전년도(4.4%)보다 0.7%p 증가했다.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는 29.3%로 전년(28.8%) 대비 0.5%p 증가했으며, 매년 꾸준히 증가(2012년 6.9% → 2017년 21.0% → 2022년 29.3%)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 생존율은 12.2%, 그렇지 않은 경우는 5.9%로, 시행 시 생존율이 2.1배 높았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일반인 심폐소생술 확대를 위해,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정 시 코로나19 등 감염 우려 상황에서의 심폐소생술 시행방법을 포함했고, 실습교육 형태의 표준교육과정 운영이 위축되는 시기에 심폐소생술 비대면 교육자료를 개발·배포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질병청 손상예방관리과 배원초 과장의 ‘2022년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 발표’를 시작으로, 미국 에모리 의과대학 브라이언 맥널리(Bryan McNally) 교수가 ‘미국 심장정지 조사사업 현황’을 소개했고,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성필 교수는 ‘한국 심폐소생술 20년 성과 및 발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또한 급성심장정지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급성심장정지 관련 바이오마커 개발 소개’, ‘어린이·청소년에 대한 심폐소생술 교육 개선 방안’, ‘심정지 생존자의 장기 예후’에 대한 분석 보고가 이어졌으으며, 특히 급성심장정지 발생 후 기적처럼 다시 살아난 생존자 모임 ‘119리본(Re:born) 클럽’의 김자영씨가 참석해 건강한 일상을 되찾게 된 소감과 함께 현장 심폐소생술에 도움을 준 여러분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이어진 현장 119구급대원의 발표에서는 119상황실에서의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안내 방법, 심폐소생술 관련 장비의 활용 방법, 심정지 관련 주요 사업 현황과 발전 방안 등에 대해 현장 경험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것으로 이날 심포지엄이 마무리됐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