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복합 의료기기 개발과 시장창출을 위해 정부가 팔을 걷었다. 이를 위해 의료기기 개발 전 임상·인허가 등의 지원을 통해 장애요소를 사전에 관리하는 한편 의료기기 시장진출 촉진을 위한 법·제도 개선을 위한 업계의 의견 수렴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오후 3시부터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에서 ‘바이오헬스 발전전략 민관회의’를 공동으로 개최해 이같은 방안을 확정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기업의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부담을 줄이고 시장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의료기기산업 정책 추진방향’과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지원 및 수요창출 전략’이 발표된다.

융·복합 의료기기는 기존 의료기기에 인공지능(AI) 기술, 로봇기술, 3차원(3D) 프린팅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융합된 의료기기(AI 진단기기, 수술로봇, 인공장기, 모바일헬스기기 등)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혁신제품이다.

복지부는 의료기기 산업 육성을 위해 ①융·복합의료기기 개발 지원 및 임상시험 지원 등 의료기기 연구개발(R&D) 지원 ②국산 유망 의료기기 시장진출 지원,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 운영 등 전주기 지원 기반(인프라) 구축 ③국산의료기기 해외 수출 지원, ④‘의료기기산업육성법’ 제정 및 규제개선 등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산업부는 우리나라 의료기기 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①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시스템 혁신 ②병원 수요 기반 의료기기 고도화 및 시장창출 ③바이오헬스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비즈니스 실증 등의 추진 전략을 제시한다.

정부는 이같은 대책을 통해 융·복합 의료기기 산업의 성장을 촉진함으로써 연구개발 등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물론, 개인 맞춤 의료를 통한 국민 건강 증진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향후 3년간 3D 구강진단·치료기기, 초음파영상 AI 분석·진단기기, AI 재활로봇 등과 같은 혁신적인 융·복합 의료기기가 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융·복합 의료기기 연구개발 일자리도 향후 5년간 약 2000여 개가 생겨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