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사들의 신약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공공의료기관 처방의약품 목록에 의무 등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16일 신약개발과 글로벌 진출 등 제약산업 전반에 대한 현안과 분석을 담은 제15호 정책보고서 ‘KPBMA Brief’를 발간했다.

정책보고서에 따르면, 다국적 제약사들이 고가의 혁신 신약 위주의 성장 전략을 펼친 결과 2016년 국내 제약기업의 의약품 처방액과 처방 품목 수 모두가 5년 전인 2012년 보다 줄어들었다. 

국내 처방이 많았던 상위 100대 의약품 가운데 국내 제약기업의 제품은 2012년 43개에서 2016년 41개로 감소했다. 상위 20대 품목으로 한정해 봤을 때는 2016년 국내 제약기업 제품이 4개에 불과해 5년 전인 2012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이다. 청구액도 2012년 1조3037억원에서 5년 뒤인 2016년 1조1502억원으로 감소했다. 

국내 제약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한 이유가 최근 5년간 외국계 제약기업이 고가 신약의 성장에 집중, 대형 품목으로 빠르게 키워내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국내 제약기업의 경우 신약을 개발해도 정작 시장 진입이 쉽지 않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혔다.

정책보고서는 “대형병원 처방 리스트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임상데이터를 제출한다거나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 등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해 시장 진입 자체가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고, 이는 결국 내수 시장에서의 임상데이터나 사용 경험 부족으로 이어져 글로벌 진출 역시 늦어지는 결과를 낳는 것으로 풀이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기업의 혁신신약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선 공공의료기관 처방의약품 목록에 국내 개발 신약을 의무 등재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정부가 의료기관 평가 및 지원정책을 집행하며 국내 개발 신약 사용실적을 평가지표 등에 반영한다면 국산 신약이 실제로 시장에 진입하는 시장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제15호 정책보고서 ‘KPBMA Brief’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