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착각일까. 아니면 대한약사회의 고집일까. 일반의약품의 약국외 판매를 놓고 두 단체가 정면충돌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민불편 해소 차원의 경실련 주장이나, 약은 약사의 손을 거쳐야 한다는 서울시약사회의 주장이 맞서고 있지만 냉철하게 따진다면 아직 우리나라는 일반의약품의 약국외 판매는 시기상조다.

물론 박카스나 다른 소화제 등 일부 의약품이 슈퍼 등에서 버젓이 팔리고 있는데 무슨 소리냐고 하겠지만 그것은 당연히 불법이고 근절돼야할 악습이다.

의약품은 일반 식품과는 분명히 다르다. 이미 알려진 부작용도 있지만 전혀 예상할 수 없는 또다른 부작용이 시판 이후에도 도사리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 의약품이다.

우리는 매일같이 수많은 의약품의 또 다른 부작용 발현과 적응증을 접한다. 심지어는 이러한 부작용 등으로 인해 관련 의약품이 전량회수되거나 시민단체로부터 소송에 휘말리는 경우도 있다.

이미 지나간 일이지만 PPA성분 감기약 사건이나, 최근 시중에서 구입한 감기약으로 필로폰을 제조·유통하다가 검찰에 적발된 사건 등을 두고 볼 때 의약품의 무분별한 유통은 항상 그 위험이 뒤따른다는 점이다.

더욱이 정부는 물론이고 제약사 등의 정보망이 미국식품의약국(FDA)이나 외국의 글로벌 제약사 등의 정보력에 비하면 아직까지는 뒤떨어져 항상 문제가 발생하면 뒷뻑치기가 비일비재하다.

따지고 보면 선진 외국에서 문제가 되면 우리나라는 이미 상당수가 유통돼 국민이 복용한 후 뒤늦게 판금조치나 회수되는 양상을 띠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함에도 일반의약품 등을 약국외 장소에서 판매한다는 것은 향후 발생할 각종 문제점에 대해 아무런 대책없이 그저 지금까지 괜찮았으니 앞으로도 괜찮을 것 이라는 단순한 생각에서의 출발이라고 본다.

그렇다고 약사회가 다 잘한것은 아니다. 적어도 의약분업 이후 국민들의 불편해소에 좀더 세심한 배려를 기우렸어야 했다.

결국 작금의 시민단체 등의 이러한 주장도 약사회가 먼저 국민적 불편을 해소하지 못했기 때문에 터져나온 것일게다. 당장이라도 여론재판을 하면 국민 불편해소라는 큰 벽에 부딪혀 약사회는 좌초하고 만다.

최근에 와서야 대한약사회가 "24시간 약국"을 들고 나와 일반의약품의 슈퍼판매를 막기위한 수단으로 급처방을 했지만 이것이 얼마나 활성화 되는냐에 따라 결과도 다를 것이다.

만약 "24시간 약국"을 가동하면서도 여전히 국민적 불편함을 해소하지 못한다면 약사회는 또 다른 대책을 강구하던지 아니면 두 손 들어야 한다.

지금도 많은 시민들이 "자기들은 약국에서 신발까지 팔면서 왜 못 팔라는 것이야"라는 비아냥을 하고 있다. 스스로 반성하고 돌아 볼 일이다.

그러나 아무리 이러한 발상이 현실성이 약하고 대안으로써도 미흡하다고 하지만 정부까지 남의 일 보듯 하면 안된다.

이제 정부가 나서 논란의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 약사회에는 더 적극적인 국민불편해소를 채찍질하고, 시민단체들에게는 의약품이기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

적어도 일반의약품 등을 슈퍼 등에서 유통하려면 약이 아닌 공산품의 이름이 붙어야 할 것이다. 아무리 안전한 약물이라고 해도 항상 약의 주변에는 잘못된 오남용의 악습과 혼용을 부추길 상황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우리모두는 명심해햐 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