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국가 가운데 자살율 1위라는 오명의 타이틀을 단지 꽤나 됐는데도 여전히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극단적인 선택을 막을 수 있는 사회적 방안모색은 없어 보인다.

특히 자살 등이 자신만의 생을 마감하는 것이 이나라 가족 전체가 아니면 아무런 이유 없이 남까지 해치는 사회적 문제로까지 진전됐음에도 정부는 수수방관이다.

국민 건강은 보건만 있는 것이 아니다. 복지도 이에 비례해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얼마전 "보건복지콜센터 희망의 전화 129"를 특허청에 상표(업무표장) 출원한다고 밝힌바 있다.

지난해 11월 개통되어 전국 어디서나 시내 전화요금으로 통화가 가능한 "희망의 전화 129"는 수요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하나의 전화번호만 기억하면 국민보건과 복지에 관련된 모든 상담서비스와 관련 정보를 언제든지 제공 받을 수 있는 제도다.

특히 상담분야는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위기상황이나 아동 노인 학대, 자살 예방, 응급의료, 푸드뱅크, 위기가정 상담, 노인치매, 암 정보, 금연 정보,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 등 보건복지와 관련된 모든 사항을 아우르고 있다.

복지부가 "희망의 전화 129" 도입의 성과를 과찬하고 이를 상표출원한다고 하는 뒷쪽에서는 우울증이나 생활고를 비관해 가족까지 살해하고 자살하는 끔찍한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씁쓸하다.

15일 우울증을 앓던 40대 가장이 부인과 자녀 3명을 살해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발생했다.

또 16일에는 평소 앓고 있던 지병을 비관해오던 한 60대 남자가 18층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 우울증을 앓던 20대 여성도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런일은 비단 최근의 일만은 아니다. 지난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이 1만2,047명이라는 기록을 볼 때 심각한 수준이다.

최근 들어 우울증이 가족동반자살이라는 참극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는데도 대책이 없다는 것은 또다른 사고의 연속을 그대로 방치하는 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

이같은 가족동반자살 건수는 지난 95년 16건에서 IMF때인 97년 28건으로 급증했다가 경제가 호전되면서 다소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다가 최근 다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현상을 과연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해야만 하는 것인지, 아니면 이들이 극단적인 선택에까지 이르는 과정에서 우리 사회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이제는 관심과 대책을 강구해야 될 때라고 본다.

자살 위험에 노출돼 있는 사람들을 돕기 위한 관련법 개정과 상담 등 사회안전망의 확충이 절실한 실정임에는 틀림없다.

정부는 극단적인 선택을 막을 수 있는 사회적 방안모색을 시급히 찾아내야 한다. 그 것을 경제적 비관으로 보는 것도 문제지만 "희망의 전화 129"의 실적만으로 좋아 할 때도 아니다.

특히 심한 우울증이 참극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사회안전망 차원의 치료체계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