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 3월 21일부터 한 달여 동안 생동성 시험기관에서 입수한 CD 및 컴퓨터 등을 토대로 11개 기관, 총 101개 품목에 대한 중간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중 4개 기관에서 시험한 10개 품목이 조작된 것으로 확인되자 의사단체와 약사단체가 전면전까지 예고하며 실익 챙기기에 돌입했다.

그리고 3일후인 28일 보건복지부 보험급여기획팀은 식약청장으로부터 생동성시험을 조작한 혐의가 드러난 광동제약의 딜라베틀정 등 19개 제약사의 카르베딜롤 성분의 19개 품목에 대해 추가로 허가취소 계획을 통보받았다. 복지부는 곧바로 이를 건강보험공단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통보,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했다.

예상보다 생동성 조작의 범위가 넓다. "그럴수도 있겠다"를 넘어 "형편없는 짓거리들을 했다"는 핀잔을 하지않을 수 없다.

아무리 핑계를 대고 약효를 운운해도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의약품을 갖고, 그것도 짜고 치는 고스톱처럼 인위적 조작을 대대적으로 했다는 것은 손가락질을 받아 마땅하다.

이번 생동성 조작 사태는 의약분업의 허술함을 그대로 입증했고, 식약청의 정책에 따른 후속관리가 엉망이라는 것을 단적으로 드러냈다.

우리는 식약청의 이러한 무지를 수차에 걸쳐 지적했다. 즉 처벌과 행정조치를 취하고는 뒷 관리는 전혀 안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인력부족을 핑계로 내세우겠지만 조그만 신경을 기우리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일들이 부지기수다.

때문에 이번 일로인해 식약청이 또다른 의혹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 문제는 국정감사에서 분명히 거론될 것이지만 "별 문제 없겠지"하고 묵시적인 거래에 의해 은근슬쩍 넘어간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

시험기관도 그렇고, 제약사도 그렇고, 식약청까지도 일련의 행위를 보면 이해가 되지 않는 구석이 많다.

그러나 늦었지만 이번 사테를 교훈삼아 "소 잃고 외양간을 고지는 것"이 아니라 "소 잃고도 외양간을 고쳐야 한다".

생동성 시험이 무엇인가. 최초로 허가 받은 오리지널 의약품과 복제허가를 받고자 하는 카피의약품간의 인체 내에서의 약효가 동일함을 입증하는 일종의 임상시험이 아닌가.

특히 이번 생동성 시험은 의약분업의 연장 선상에서 생동성시험을 필한 품목에 대한 대체조제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목적으로 행해진 시험이기도 하다.

문제가 이러할진데 더욱 가관인 것은 이번 사태를 정략적으로 이용 자신들의 이권을 챙기려는 속셈을 드러낸 의사협회와 약사회다.

양 단체는 생동성 조작의 원인이 서로 상대 단체의 잘못에서 비롯됐다고 몰아부치면서 이참에 확실히 못을 박아놓겠다고 작심하고 있는 듯 하다.

어찌보면 불난집에 부채질 하고 있는 꼴이다. 아직도 우리나라 의약계 수준이 이밖에 안되는지 한심할 따름이다.

이런 충돌에는 제약사가 퍼다주는 리베이트라는 검은 손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도 우리는 잘 안다. 만약 이런 오해를 당하지 않으려면 지금의 전면전 행태를 거둬들여야 한다.

우리는 식약청이 생동성 조작과 관련한 국민들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생동성 전면 재 검사를 실시할 것을 촉구한다.

이것은 비록 아픔이 있더라도 반드시 해야한다고 보는 것이다. 글로벌 신약하나 변변찮은 우리나라가 카피약 마져 이런 식으로 칼질 당하면 제약산업 전체가 추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동성 시험 의약품의 신뢰를 회복해야만 나락으로 떨어진 의약품 시험기관, 제약사, 식약청의 도덕성을 회복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또 한번 의약 단체간의 이전투구로 모두가 피흘리는 아픔을 겪게될 것이 명약관화하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