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 이상으로 고생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위장관 운동의 중요 메커니즘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짐에 따라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서울대의대 생리학교실 김기환, 서인석 교수팀은 “ TRPM7 이라는 이온통로가 위장관 운동의 발생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화기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위장관학회지" 11월호에 실렸다. 논문 제목은 "위장관 리듬의 근본 기전에 관한 연구(Melastatin Typ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 7 (TRPM7) is Required for Intestinal Pacemaking Activity)".

특히 서울대의대 연구팀의 논문은 이 저널의 편집자인 미국 메이요 클리닉 파루지아 교수의 논평과 함께 실렸는데, 파루지아 교수는 논평에서 “심도 있고(meticulous), 훌륭한 연구(elegant study)”라고 높이 평가했다. 서울대의대 연구팀은 유전자조작 생쥐를 이용한 실험, 면역조직염색법, RNA 간섭실험, 생리 및 약리학적 실험 결과들을 바탕으로, TRPM7이라는 새로운 이온통로가 카할간질세포의 자발적 리듬발생에 핵심역할을 함을 밝혀냈다.

기존의 해외 연구결과 등을 분석 및 확인하는 과정 등을 통해 TRPM7 이 위장관 운동에 관여하리라는 가설을 세운 연구팀은 이를 검증하는 실험을 했다.

TRPM7 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들을 사용하여 위장관 리듬에 변화가 오는지 관찰한 결과, TRPM7 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들이 위장관 리듬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했다.

항체를 사용해 위장관 조직에 TRPM7이 존재함을 확인한 연구팀은 또한 배양한 카할간질세포에서의 실험 결과, TRPM7 의 발현을 감소시키자 위장관 리듬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알아냈다.

이와관련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한 필수작용인 위장관 리듬의 열쇠 매커니즘을 밝혀낸 것으로, 이 결과를 응용해 위장관 리듬을 조절하는 신약물질을 만들어내면 위장관 질환 치료에 큰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