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약산업 발전에 대한 장기 플랜을 마련하고 저가약대체조제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고착화되다시피한 다국적 제약사들의 국내시장 다점유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지난해의 경우도 건강보험급여로 청구된 의약품 상위 10개 중 8개는 다국적 제약회사가 차지한 반면 국내제약사가 생산한 의약품은 2개에 불과해 의약품시장에서 국내제약사들이 설 자리를 잃고 있는 것이 확연히 드러났다.

뿐만아니라 2003년부터 지난 7월까지 신규등재신청된 의약품 현황에서는 이같은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는데 121개 신규등재된 의약품 중 국내 신약은 단 1개에 불과했다.

이러다 보니 이번 국정감사에서 열린우리당 김춘진 의원이 "우리나라 건강보험 재정으로 다국적 제약회사만 먹여 살리는 형국”이라고 지적하는 시점에 까지 왔다.

비단 김 의원의 지적 뿐만아니라 이처럼 기형적인 국내 제약산업의 우려는 수없이 제기됐다.

심지어 국민보건주권 상실. 제약산업의 식민화, 국내 제약사의 다국적사 지점화 등 다양한 우려가 제기됐지만 결국 하늘을 향해 내뱉는 공허한 말이되곤 했다.우리는 국내 제약산업이 오늘의 현실에 놓인 것은 정부의 책임만이 아닌 의사, 약사들의 국내 제약산업을 바라보는 인식결여에서 비롯됐다고 본다.

물론 "환자에게 좋은 약을 쓰는게 뭐가 나쁘냐"고 반문한다면 할말은 없다. 그러나 그런 반문을 뒤집어 본다면 결코 그들도 리베이트라는 굴레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리베이트에 휘둘리는 처방과 조제가 국내 제약산업을 이렇게 만든 것 아니냐고 묻는다면 과연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말이다.

사실 다국적 제약사들의 의약품이 높은 국내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배경에는 의사 약사들은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누구를 탓할 것이 아니라 의사가 과연 진솔한 처방을 했는지, 약사 또한 진실한 조제를 했는지 반성해봐야 한다.

정부가 동일한 성분과 효능을 가지고 있는 의약품(생동성인정품목) 내에서 저가 대체조제를 허용하고 있음에도 실제로 약사들은 이를 적극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본다.

이는 동일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약품군의 건강보험 청구경향을 살펴보면, 저가 약보다 고가 약 사용량이 약 2.5배에 이르고 있다는 것이 이를 잘 입증하고 있다.

이런 모순은 또다른 기형을 양산하고 있다. 국내 제약사들이 OTC활성화 보다는 다국적사들과 경합을 벌이며 오로지 전문약에만 매달리는 현상을 유발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이번 국감을 통해 지적된 각종 사안들을 총 점검해 국내 제약산업을 제자리에 올려 놓는 일을 서둘러야 한다.

언제까지 신약없는 국가, 남의 약 배끼기에만 시간을 보낼 것인가. 지금의 현상은 결국 신약개발 보다는 편법을 낳는 국내 제약산업의 도태를 가져오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