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을 위한 연구비 투자가 총체적으로 재점검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과에 비해 중단 또는 포기로 아까운 예산이 낭비되고 있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열린우리당에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신약개발과 관련해 정부가 투자한 연구가운데 총 12개의 연구가 중단됐으며, 36억원의 예산이 허비 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자료는 지난 2001년부터 2004년 8월 까지 신약개발과 관련해 총43억원을 투자했으나 연구가 중단된 총 12개 중 회수액은 6억7,000여만원에 불과하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들 연구 중단사유가 사망, 퇴사, 포기 등 이해 할 수 없는 이유를 달고 있어 연구주체의 검증은 물론 관리 실태도 집중 점검해야 할 것이다.

대표적인 중단 사항을 연도별로 보면 2001년 서울대학교 2차대사체 관련 연구(주관책임자 사망), 2002년 신약조합 및 동국제약 위궤양치료 및 간보험 치료제 개발 연구(독성발현 주관책임사 사퇴), 2003년 한국생명공학연구조합 류머티스 관절염 및 쯔즈가무시 예방백신, B형 간염치료제 개발 연구(참여기업 포기), 한국신약개발조합 주관 간장치료제 세팔로스포린 항생제 개발사업(시장성불투명과 공장 화재), 2004년 한국신약연구개발조합 신규류마티스 관절염치료제개발(임상2상 결과 미흡)은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 것 들이다.

이는 현재 복지부가 지원하고 있는 신약개발 연구비 투자가 엉망이라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다. 특히 이러한 이유로 연구를 중단한 것들은 투자한 연구비 회수 조차도 미미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조합(18억원 예산 지원), 신약연구조합 (3억6,000여만원 예산 지원)이 20억원 이상의 예산을 지원 받았으나 2년이 지난 지금까지 회수된금액은 겨우 2억 8,00여만원밖에 되지 않는 다는 것이 이를 잘 입증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그대로 방치하는 것은 옳지 않다. 자칫하면 신약개발의 연구비 투자가 한순간에 제로화 될 수 있다는 맹점을 이용 오히려 신약개발을 해치는 결과로 귀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약개발의 중단 이유는 분명해야한다. 연구 개발 중 약효가 예상 밖이거나, 심각한 부작용 등으로 인해 글로벌화 될 수 없는 문제점 등이 발견 됐다면 이는 현실 그대로 받아 들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사업 주체자의 퇴사, 사망, 참여기업 포기로 인해 신약개발 연구를 중도 포기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우리는 신약개발과 관련해 정부 투자 우선순위는 물론 자질을 갖춘 제약사에 중점적으로 투자 개발의 시기를 당겨줄 것을 수없이 촉구했다.

바로 이런 문제가 신약개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것을 복지부가 몰랐을리 없다. 신약개발의 의지 보다는 예산을 적절히 분배해주는 정책에서 못 벗어났기 때문에 생긴 문제임에는 달리 할 말이 없다고 본다.

복지부는 올하반기부터 특정센터 28억, 바이오신약 9억, 국제협력사업에 20억과 상반기 집행잔액 26억원 등 84억원을 추가로 지원 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우리는 정부건 업체건 신약개발 자금의 부족만 탓하고 있을 것이 아니라 바로 이런 문제해결에 먼저 심혈을 기우리기를 다시한번 촉구하고자 한다.

집안 쪽박깨진 것부터 막지 않으면 대한민국에서의 글로벌 신약 탄생은 영원히 풀기 어려운 숙제로 남을 수 있다는 것을 이번 기회가 교훈이 되어 줄 것을 당부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