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12일 최근 5년간(2008~2012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불임(N46, N96-97)’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가 2008년 16만2000명에서 2012년 19만1000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11.8%, 여성 2.5%로 남성에서 크게 늘어났다.

가임여성(20~49세)의 나이를 고려해 최근 5년 동안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를 분석한 결과, 남성은 35~44세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16.2%) 했고, 그 뒤를 이어 45~49세에서 연평균 12.8% 증가했다.

여성은 35~39세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10.8%) 했고, 그 뒤를 이어 40~44세에서 연평균 10.5% 증가했다.

2012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는 30~34세 여성이 3658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35~39세 여성이 1920명, 25~29세 여성이 1352명 순으로 나타났다.

30대 후반, 40대 초반에서 불임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정재은 교수는 “결혼 시기가 30대 초반 이후로 늦추어지고, 사회적 기반을 잡은 후 본격적으로 임신을 시도하는 시기가 30대 중반으로 늦춰지는 경향이 있다”며 “통상 결혼 후 1~2년은 자연 임신을 시도하다가 실패한 후 병원을 찾게 되는 시기는 35세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불임’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8년 182억원에서 2012년 230억원으로 1.3배 증가했으며, 건강보험에서 지급한 2012년 급여비는 143억원이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