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국민 30% 가량인 1500만명이 결핵균감염자로 추정돼 보다 적극적인 예방 및 치료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통합당 남윤인순 의원(국회 복지위)은 23일 질병관리본부와 대한결핵협회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보건당국은 국내 결핵균 감염자를 전체인구의 30%정도인 150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계보건기구(WHO)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1년 현재 국내의 활동성 결핵 환자수는 약 7만2000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남윤 의원은 “결핵은 우리나라 주요 공공보건 문제 중의 하나이며, OECD 국가 중 가장 심각한 수준의 상태에 처해 있어, 조기발견 및 감시체계 강화, 철저한 치료 및 관리 등의 대책을 강도 높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윤 의원은 “정부는 참여정부 때인 2006년 ‘결핵퇴치 2030 Revision’을 수립해 2030년까지 98%로 줄여, 인구 100만명당 1명이하 발생으로 사실상 결핵을 퇴치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BGG 생산시설 확보, 결핵민간공공협력사업, 소집단 결핵 역학조사 등 결핵환자관리 사업을 개편한 바 있다”면서 “이명박정부 출범 후인 2010년에 '결핵조기퇴치 New 2020plan'으로 수정해 2030년까지 도말양성 폐결핵 신환자의 연간 발생률을 인구 100만명 당 10명 미만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로 조정하고, 환자 조기발견 및 관리시스템 운영, 결핵환자에 대한 지원 확대 등 결핵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결핵발생률이 감소하기는 커녕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남윤 의원은 이어 “질병관리본부의 ‘결핵환자 신고현황 연보’와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 자료에 따르면 신고 결핵 새 환자수 발생추이가 인구 10만명 당 2008년 69.1명, 2009년 72.2명, 2010년 72.8명, 그리고 지난해에는 무려 78.9명으로 증가하고, 결핵사망률도 인구 10만명 당 4.7명(2011년, 통계청) 으로 OECD 국가의 평균인 17.7명(발생환자)과 2.1명(사망자수)과 비교할 수 없는 수치로, OECD 국가 중 발생률 및 사망률 1위를 차지하고 있다”며 “결핵진환자 중 20~30대 이상이 60~70대 이상을 합친 수보다 더 많은 전형적인 후진국형 전염병 특성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남윤 의원은 “최근 학교를 중심으로 결핵 소집단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결핵약으로는 잘 치료가 되지 않는 다제내성 결핵(MDR TB) 또는 광범위약제내성결핵(XDR-TB)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국내에는 전체적으로 다제내성 결핵환자가 인구 10만명 당 1.9명, 광범위약제 내성결핵환자는 인구 10만명 당 0,3명인데, 특히 다제내성 결핵은 isoniazid와 rifampicin에 동시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감염증으로, 2년 이상의 치료기간, 비싼 치료비용에도 다수의 사망자와 치료 실패자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결핵환자 조기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을 구축하고, 신규 결핵환자 발생 증가추세를 진정시키기 위한 백신 개발 및 수급의 필요성이 있으며, 영유아기에 맞은 결핵 GCG 예방접종의 면역효과가 10대 후반에 없어져 20~30대 감염이 늘고 있고, 특히 다제내성 및 광범위 내성 결핵에 대한 우려가 국내외적으로 커지면서 해당 결핵균 및 성인용 백신 개발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