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약사회 산하 학술위원회(학술위원장 김성용)는 23일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열린 대한한약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한방의약품 산업 발전을 위한 한약사회 정책안’을 주제로 한의약 산업 동향을 발표했다.

김성용 학술위원장은 “보수적인 시각에서 ‘한약서에 근거해 허가받은 품목’만을 대상으로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현재 보험이 적용되고 있는 ‘급여한약제제’는 국민보건기여도(한방 총진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가 2011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 중이며, ‘비급여한약제제’ 또한 시판품목 수와 시판 한약처방 종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면서,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바로 원외탕전(공동탕전)제도 도입과 예비조제의 무제한적 허용으로 인해 한약제제의 존재 이유가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김 위원장은 “매년 ‘생산금액이 전체의 1%를 초과하지 못하는 한약처방의 비율’은 91% 이상”이라며 “(이는) 한약처방 10개 중 9개는 생산금액이 전체 생산금액의 1% 이하라는 의미이며, 공진단, 경옥고, 우황청심원, 쌍화탕 등 극소수의 한약처방이 전체 생산금액의 절대다수를 차지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일각에서는 단순하게 판단해 ‘대부분의 한약처방은 임상활용빈도가 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공진단, 경옥고, 우황청심원, 쌍화탕 같은 지명구매품목과 갈근탕, 은교산 등 판매빈도가 높은 감기약을 제외하면 모든 한약처방이 한방의료서비스에서 골고루 사용된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며 “한약처방은 기본적으로 임상통계에 근거한 개인별 맞춤약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한약처방이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은 한방의료서비스의 기반을 흔들 수 있는 심각한 문제”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