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급성심장정지는 3만539건이 발생(생존율 8.6%)한 가운데, 급성심장정지 상태가 발생했을 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생존율이 1.9~3.3배, 뇌기능 회복률은 2.8~6.2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2006~2018년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27일 공동으로 발표했다.

2018년 119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3만539명으로 10년 전(2008년)보다 약 39.4% 증가했다.

성별·연령별로 살펴보면, 남자의 비율(64.0%)이 여자의 비율(35.9%)보다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증가했으며, 특히 70세 이상 어르신의 발생률은 전체 발생의 약 50%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급성심장정지 원인은 질병이 전체 발생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것이 93% 이상을 차지했으며, 장소는 가정이 대부분(45.3%)을 차지했고, 그 외 도로·고속도로(7.7%), 요양기관(7.6%), 구급차안(6.1%) 순으로 나타났다. 활동상황은 일상생활 중(31.1%)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치료 중(8.2%) 근무 중(5.4%), 여가활동 중(2.0%)에도 발생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2018년 생존율은 8.6%,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10년 전(2008년)보다 각각 3.4배, 6.4배 증가했고, 전년 대비 비슷했다.

환자가 쓰러지거나 쓰러진 환자를 목격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는 매년 증가(2008년 1.9% → 2017년 21.0% → 2018년 23.5%.)하고 있으며,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생존율은 약 1.9~3.3배, 뇌기능 회복률은 약 2.8~6.2배 높게 나타났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과 정문호 소방청장은 “급성심장정지 조사결과에서 보듯이 심폐소생술 실시여부는 환자의 생존율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환자를 발견했을 때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고, 일반인 심폐소생술을 늘리기 위해 지역주민의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2020년에 국제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이 새로이 개정됨에 따라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소방청과 함께 표준화된 교육을 더욱 확산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는 급성심장정지조사 현황 및 결과를 공유하고 생존율 향상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소방청과 공동으로 27일 오전 더 블라자호텔에서 ‘제 8차 급성심장조사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개최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