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2년~2017년까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협심증(I20)'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2년 55만1000명에서 2017년 64만5000명으로 매년 약 3.2%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계산하면 2012년 1110명에서 2017년 1267명으로 나타났으며, ‘협심증’ 진료에 지출한 총진료비는 2012년 5660억원에서 2017년 7701억원으로 약 1.4배 증가했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70대 이상(27만4000명, 42.4%)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19만7000명, 30.6%), 50대(12만1000명, 18.8%)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 이상(13만5000명, 36.3%)이 가장 많았고, 60대(12만명, 32.3%), 50대(7만9000명, 21.4%)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13만9000명, 50.8%)이 가장 많았고, 60대(7만7000명, 28.3%), 50대(4만2000명, 15.3%)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협심증 진료환자를 분석해 보면, 50대부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70대 이상이 가장 많았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70대 이상이 7228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60대 4494명, 50대 1902명 순으로 많았으며, 여성도 70대 이상이 5154명, 60대 2762명, 50대 1009명 순으로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오성진 교수는 노인 70대 이상이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협심증은 기본적으로 만성 혈관 질환이기 때문에 연령이 증가하면서 발병률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면서 “협심증을 치료하지 않는다는 것은 협심증의 위험인자들을 관리하지 않는다는 것이므로 혈관질환이 지속적으로 악화돼 효과적인 치료가 불가능 하게 돼 흉통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낄 수 있다. 심한 경우 급성관동맥증후군으로 발전해 심근경색, 급사 등의 위험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