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2017년 보건산업 수출은 2016년 102억 달러 대비 14.3% 증가한 117억 달러 내외, 일자리는 2016년 79만5000명 대비 4.6% 증가한 83만1000명 내외로 잠정 추계됐다. 보건산업 수출은 2016년 최초로 100억 달러를 돌파하고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된 데 이어 2017년에도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따라서 2018년에는 수출 다변화, 선진시장 진출 등 질적 성장이 이뤄지면서 수출액이 16.0% 증가한 약 136억 달러에 달하는 등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7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보건산업의 2017년 3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액은 총 86억 달러(9조7000억원)로 전년 동기대비 15.5% 증가하고, 수입액은 81억9000만 달러(9조3000억원)로 5.9% 증가해 4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의약품 수출액은 27억2000만 달러(3조1000억원)로 전년 동기대비 12.3%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43억6000만 달러(4조9000억원)로 3.9% 증가했다.

바이오시밀러는 미국·유럽 등으로 총 의약품 수출액의 30.1%인 8억2000만 달러, 백신은 브라질·페루 등으로 1억2000만 달러, 면역글로불린은 브라질·이란·인도 등으로 5300만 달러 수출액을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3억 달러), 일본(2억9000만 달러), 중국(2억3000만 달러), 브라질·헝가리(각 1억5000만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시밀러 수출 등의 영향으로 對미국 의약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173.7% 증가하면서 수출 1위 국가가 됐고, 수출 상위 20개국 중 유럽 국가가 9개국에 해당되는 등 선진국 시장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의료기기 수출액은 22억6000만 달러(2조60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26억5000만 달러(3조원)로 8.1% 증가했다.

의료기기 수출을 이끄는 주요품목은 초음파 영상진단기(3억9000만 달러, 17.0%↑), 내과용·외과용·치과용․수의용 진단기기(2억3000만 달러, 43.7%↑), 정형외과용 기기(2억 달러, 34.6%↑) 등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3억9000만 달러), 중국(3억4000만 달러), 일본(1억8000만 달러), 독일(1억1000만 달러), 인도(8000만 달러) 순이다.

수출 상위국가 중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큰 국가는 터키(63.1%), 인도네시아(56.9%), 브라질(53.7%), 인도(44.4%), 러시아(40.2%)로 나타났다.

화장품 수출액은 36억2000만 달러(4조10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9.1%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11억8000만 달러(1조30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했다.

분기별 수출액 증가율은 1분기 34.5%, 2분기 6.7%, 3분기 19.2%로 3분기 들어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추세이다.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13억4000만 달러), 홍콩(9억1000만 달러), 미국(3억5000만 달러), 일본(1억7000만 달러), 대만(1억2000만 달러) 순이다.

수출 다변화 노력에 따라, 수출 상위 국가 중 독일(435.6%), 러시아(119.8%), 영국(99.7%), 네덜란드(92.8%) 등 유럽지역에서 전년 동기대비 수출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의료서비스를 포함한 보건산업 일자리는 82만4000명으로, 2016년 말(79만5000명) 대비 3만명 증가(3.7%)했다.

보건제조산업인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일자리는 14만2000명으로, 작년 말(13만7000명)보다 3.6%(5천명)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제약산업 일자리가 6만4000명으로 작년 말 대비 2.9% 증가했고, 의료기기산업 일자리는 4만5000명으로 작년 말 대비 4.5%, 화장품산업 일자리는 3만3천명으로 작년 말 대비 3.8% 증가했다.

병·의원 등 의료서비스 일자리는 작년 말(65만7000명) 대비 3.8% 증가해 68만2000명으로 늘었다.

전 분야에서 고르게 일자리가 늘어, 보건산업이 성장하면 일자리도 함께 창출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복지부는 보건산업의 성과를 가속화하고, 혁신성장의 핵심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혁신적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정책펀드, 수출 등 지원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설치 예정인 ‘헬스케어특별위원회’ 등을 통해서도 미래 보건산업의 발전방향을 적극 논의하고, 정책에 반영해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