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안심국가’ 사업 추진 중간 점검 결과, 집단시설 종사자 21.4%(2만7256명)가 잠복결핵감염 양성인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정부는 의료기관과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중 33.8%인 12만7619명에 대한 검진을 추진키로 했다.

질병관리본부는 매년 3만여명 이상(2016년, 질병관리본부)의 결핵환자가 신규로 발생하고, 2200여명(2015년, 통계청)이 결핵으로 사망하고 있는 등 여전히 결핵으로 인한 손실이 큰 실정이고, 의료기관, 어린이집, 학교 등 결핵 전파 위험이 큰 집단시설에서 결핵이 발생하고 전파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선제적 예방에 중점을 둔 ‘결핵 안심국가 실행계획(2016.3.24.)’을 마련하고, 올해부터 본격 시행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우리나라 미래를 이끌 영유아를 결핵으로부터 보호하고, 병원 내 감염을 사전에 철저히 예방하는 등 집단시설 내 결핵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 지난해 8월 ‘결핵예방법’을 개정·시행(2016.8.4)하고 예산 162억원(국비 및 지방비)을 확보해 어린이집, 의료기관 등 집단시설 종사자에 대한 결핵 및 잠복결핵 검진을 의무화했다.

이에 정부는 올해 3월부터 △의료기관 종사자 12만명, △어린이집 종사자 14만명,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11만8000명 등 집단시설 종사자 약 38만 명에 대해 잠복결핵검진을 추진하고 있다. 6월 8일 기준으로 의료기관,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검진대상자 37만8000명 중 33.8%(12만7619명)에 대해 검진을 추진했고, 그 결과 21.4%(2만7256명)가 양성자로 확인됐다.

집단시설별로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양성률은 29.8%(6926명)로 어린이집 종사자 20.9%(9116명), 의료기관 종사자 18.4%(1만1214명)  보다 높은 편인데,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연령이 높아질수록 잠복결핵감염 양성률이 높아지는 특성 때문으로 풀이된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러한 집단 특성별 잠복결핵감염 양성률은 향후 집단 특성별 결핵관리를 위해 결핵 발생 및 전파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내무반 등에서 공동생활을 하는 군부대는 전염 우려가 높아 사전 예방이 중요한 병역판정검사 대상자 34만명에 대해 올해 1월부터 잠복결핵 검진이 추진하고 있으며, 결핵 발병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는 연령인 고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올해 4월부터 잠복결핵검진이 추진하고 있다.

또한 결핵 발병 위험이 높고 건강관리가 취약할 수 있는 학교 밖 청소년은 3월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교정시설 재소자는 8월부터 잠복결핵검진이 예정돼 있다.

그리고 생애주기별 대상자인 만 40세(1977년생) 건강진단 대상자(64만명)의 잠복결핵검진의 경우는 2017년 제3차 결핵전문위원회를 통해 사업 타당성과 효과 및 양성자에 대한 치료 수용능력(치료 인프라 등), 대규모 집단검진의 치료순응도 및 부작용 최소화를 위해 도입하고자 했던 신약(리파펜틴) 도입의 애로 등 여러 측면을 논의한 결과, 만 40세 검진 사업은 시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권고·의결됐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현재 결핵예방법에 의거해 ‘제2기 결핵관리종합계획(2018-2022)’을 수립 중에 있으며, 그간 미진했던 노인, 외국인 등에 대한 결핵관리와 다제내성 결핵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통일대비 결핵관리계획 등의 방안을 담을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