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의학 등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한국과 중국간의 협력이 강화된다.

보건복지부 지난 12일 중국 시안(西安)에서 제15차 동양의학협력조정위원회(차관급 회의)를 개최해 전통의약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 5개항의 합의 의사록에 서명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진흥재단, 대한한의사협회 등 주요 기관장도 참여했고, 양해각서(MOU) 체결, 실행방안 협의 등도 이뤄졌다.

양국의 합의한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한‧중 양국은 전통의약 연구의 실질적 교류 협력을 위해 공동연구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국내 유일의 한의약 분야 기초연구 전문기관인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혜정)과 지난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중국중의과학원과의 별도 양해각서(MOU)도 체결됐다. 향후 공동연구위원회를 통해 전통의약 기초 연구분야의 공동연구 추진, 심포지엄 개최, 인력 교류가 추진될 예정이다.

또한 양국은 전통의약의 과학화, 현대화를 위한 교류협력도 추진한다.

이 사안은 복지부 산하 한약진흥재단(원장 신흥묵)에서 진행할 예정이며, 주요 교류협력 분야는 제3차 한의약육성종합계획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과 한약제제 현대화 사업이다.

현재 중국은 우리에 앞서 중의우세병종(中醫優勢炳種)에 대한 임상진료지침을 100여개 이상 개발한 상태다.

향후 중국의 지침 개발과정의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한의진료지침 개발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표준임상진료지침의 보편적 진료지침으로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약제제 분야 교류를 통해 연평균 생산량이 21조(2012년 기준)에 달하는 중약 시장 성장과정의 정보를 공유하고 해외 진출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양국의 전통의약 진단체계에 대한 정보 교류도 활성화 된다.

한‧중의 전통의약은 각각의 진단체계를 현대적으로 발전시켜 온 양국은 이런 진단체계의 발전 현황을 공유하기 위해 전문가간 공동 학술세미나 개최를 추진하게 된다.

이 학술세미나는 연내에 대한한의사협회(회장 김필건)와 중화중의약학회간 이뤄질 예정이다.

양국의 전통의약이 공공보건 영역에서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협력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정기혜)은 구체적 실행 전략을 수립해 양국의 전통의약 공공보건 사업 일선 기관의 담당자 공동 교육, 국제 워크숍 개최를 추진한다.

이밖에도 양국은 전통의약이 각국의 보편적 보건의료체계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ICD(국제질병분류체계)에 전통의학 국제질병분류(ICTM)를 포함하는 것에 대한 지지를 천명하기로 했다.

그동안 한국과 중국은 이를 위해 WHO의 ICTM 프로젝트를 지원해 왔으며, 현재 ICD Revision Conference(오는 10월 일본 도쿄 개최)를 앞두고 있다.

한국측 대표단장인 복지부 방문규 차관은 “전통의약 강국인 한‧중 양국이 전통의약 발전을 위해 적극 협력하여 전통의약 시장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우리 한의약의 해외 진출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일조할 것”이라고 이번 합의에 대한 의미를 설명했다.

복지부는 이 합의 사항을 차질없이 추진하기 위해 참여 기관과 소통하고, 올해 설립된 한약진흥재단을 간사기관으로 지정하여 추진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차년도 회의는 2017년 상반기에 한국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한편 이에 앞서 방문규 차관은 11일 중국 후난성(湖南省) 정부청사를 방문해 한국 의료기관, 제약,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산업의 후난성 진출 지원을 위해 후난성정부 샹리리(向力力) 비서장, 위생계획생육위원회 장젠(张健) 주임과 고위급회담을 가졌다.

후난성 정부는 건강산업원 내 한국 의료기관과 보건산업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특화단지인 ‘한국전속원구’를 조성하기로 하고, 사업 추진을 위해 전문운영회사인 ‘다궈촨치(大國傳奇) (후난) 건강산업투자유한회사’를 설립(2015)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올해 3월 동 회사와 한국 전속원구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협력협약서를 체결하고, 한국 보건의료산업 진출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복지부도 2014년 11월 후난성 위생계획생육위원회와 보건의료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어 양국 정부간 및 관련 기관간 협력 체계가 구축된 상황이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