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2~2014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수면장애(G47)’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12년 35만8000명에서 2014년 41만4000으로 5만6000명(15.8%)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감률은 7.6%를 나타냈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80대 이상 진료실인원이 가장 높은 것(10.9%)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50대(8.4%), 60대(8.2%), 40대(8.1%) 그리고 30대(7.5%) 순이었다.

2014년 기준 30대 환자수는 4만7736명으로 11.5%를 차지했다.

성별로 보면 2014년 기준 여성이 24만6604명으로 남성 16만7920명에 비해 약 1.5배 많았고, 전체 수면장애 진료실인원 중 59.5%를 차지하며, 연평균 증가율은 7.7%로 나타났다.

성 및 연령별로 보면 50대 여성이 5만5393명으로 13.4%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60대 여성이 10.2%(4만2329명), 70대 여성이 10.1%(4만2027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12~2014년 인구 10만명당 ‘수면장애’ 실진료 환자수의 연평균 증감률은 6.4%(2012년 732명→2014년 829명, 1.1배)로 분석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 실진료 환자수의 연평균 증감률이 9.3%(2012년 495명→2014년 591명, 1.2배)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30대 여성에서 연평균 증감률이 10.4%로 가장 높았다.

2012~2014년 ‘수면장애’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의 연평균 증감률은 13.5%이고 2012년 대비 2014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은 2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의과대학교 강남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서호석 교수는 “평소 수면리듬이 불안정한 경우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수면리듬이 더욱 심하게 약화되고 그 결과 잘못된 수면습관을 가지게 되면서 불면증이 생기게 된다”며 “우울증, 불안장애 및 기타 정신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불면증상은 흔히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이어 “스트레스를 받으면 불면증이 생기고 불면증이 생기니까 스트레스를 야기해 악순환이 되는데 단기간에 걸쳐서 불면증을 해결하기 위한 약물요법도 필요하다”면서 “심리적 스트레스가 해결되고 마음이 안정된 후에도 잘못된 수면습관 등으로 인해 수면이 힘들고 자주 깨는 일이 생길 경우 불면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된다. 특히 아침에 햇볕을 많이 쬐는 것도 도움이 되고 더 나아가 광치료 혹은 불안정해진 수면뇌파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뇌파훈련(neurofeedback)치료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