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폐암 환자 중 약 85%가 비소세포폐암 (NSCLC)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제약사들이 해당 질병에 관련한 의약품 포트폴리오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만들 수 있다는 뒷받침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급성장하는 생명공학산업과 더불어 한국의 선진 의학 및 연구 기반으로 인해 제약사들의 연구개발 노력들이 한층 더 심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 한국 지사가 9일 발표한 "한국 비소세포폐암(NSCLC)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이 시장은 2010년 약 96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며, 2017년 수익은 약 2억19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받을 당시에 환자들의 연령을 보면 대개 65세 이상으로, 한국의 노령화 현상은 제약사들에게 한국을 거대한 시장으로 여기게 한다. 게다가 대다수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진단 시기를 살펴보면 대개 3기 혹은 4기로, 1차 치료에 약물 치료를 포함하게 된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의 네하 코울(Neha Koul) 연구원은 “이 질환은 의료보험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대부분의 진단 환자들이 치료를 받고자 한다. 처방 약품 선택은 의료 보험 적용 여부에 따라 많이 좌우됨에 따라, 이 같이 높은 수준의 적용 범위은 환자들이 의사들의 약물 처방에 순조롭게 따를 수 있게 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낮은 조기 진단률은 약물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환자 수를 감소시킨다. 게다가 정기검진 프로그램 부족과 흔히 나타나는 사소한 초기 증상을 무시하는 경향이 조기 진단 가능성에 방해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비소세포폐암의 위험 요소 및 초기 증상들 확인 목적의 질환 인식 프로그램들에 대한 후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코울 연구원은 “제약사들은 생존률을 높히고 부작용의 중증도를 완화시키는 약제 개발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늘릴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의 신약 출시에 앞서, 의료 보험 적용 승인을 얻기 위해 약제 효능을 입증할 수 있는 엄격한 임상 시험 및 연구들을 시행해야 한다”면서 “특히 최근 이의 승인 절차가 더욱 엄격해짐에 따라, 약의 효능을 증명할 수 있는 확실한 자료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임상실험의 막바지 단계(2와 2단계)에 접어든 약품들 중, 앞으로는 표적 치료제들이 시장을 장악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러한 신약들은 환자 치료시 개별 맞춤 접근법을 예고하는 한편, "프리미엄 가격"의 치료법으로 알려져 높은 비용이 요구될 것으로 내다봤다.

 

임상단계에서 상당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또 다른 약품으로는 환자의 면역체계를 자극해 무독성의 장기적인 항암반응을 이끌어내는 비소세포폐암 백신이 있다.
 
한편 보고서는 다국적 제약사들은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바이오시밀러 또는 혁신적인 생물약제를 개발하는 틈새 생명공학 기업 인수를 점차 늘릴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