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안에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 설립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 예정대로 설립되면 의약품 사용과정에서 발생한 부작용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 국내의 약화사고 사전예방 시스템을 한 단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양적으로는 자발적 부작용 보고건수가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다고는 하지만 보고내용을 전문적으로 관리할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그 활용이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따라서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 공식 설립되면 부적절한 약물 사용으로 인한 약화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게 돼 국민건강 증진에도 큰 몫을 하게 될 전망이다. 특히 의약품 부작용 피해 저감화 및 국민 의료비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각 종 약물에 대한 부작용은 큰 사회적 문제를 낳기도 했다. 특히 일부 약물의 경우 이미 시중에서 거의 소진된 상태에서 부작용이 드러나 국민들을 약물 공포로 몰아넣기도 했다.

사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약 선호도는 선진국들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다. 여기에 일부 의사들까지 상술에 편승해 필요 없는 약까지 처방하는 사례가 비일비재 했다. 심지어 우리나라서 처방받은 약을 가지고 미국가면 반 이상은 골라낸다는 우스개소리까지 나올 정도다.

뿐만 아니다. 약물에 대한 정보 부족과, 의․약사들의 의약품에 대한 상담 부족으로 병용금기, 연령금기, 임부금기 약조차 환자 마음대로 복용하는 사례 또한 흔히 볼 수 있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약이 필요 없다면 모르지만 약이 필요한 이상 약화사고 등 의약품 부작용의 인과관계 조사·규명은 반드시 필요하다.

국민건강을 위해서는 의약품의 부작용 사례가 발생하면 곧바로 부작용으로 시판중지 또는 사용제한 조치가 내려져야 한다.

그동안의 예를 보면 약이 다 팔려나간 상태에서 시판중지가 내려지거나, 시판중지가 내려져도 이러 저런 핑계로 완벽히 회수되지 않는 사례도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도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설립은 필연적이다. 이와 관련한 약사법 개정안이 지난 4월 국회를 통과했으니 식약청은 설립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다행히 "의약품안전관리원 설립 추진 TFT"를 구성해 필요한 전문인력 확보 등 기관 설립 방안을 신속하게 마련하겠다고 발표했으니 조금도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특히 새로운 기관 설립에서 항상 문제가 되는 예산과 관련한 문제에도 신경을 기우려야 한다. 이와 관련 기획재정부도 의약품안전관리원이 순조롭게 설립될 수 있도록 예산 배정에 오차가 없도록 지원해 줄 것을 당부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