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고치려고 병원 갔다가 오히려 병에 걸렸다"는 우스개 같은 소리가 우스개로 끝나지 않고 수년째 계속되고 있다. 콘크리트 냄새가 나는 대기실이, 소독약 냄새가 코를 찌르던 진료실 환경과 공기가 호텔수준이라는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지만 그러나 그 속내는 아닌 것 같다.

여전히 실내공기질 등 관리상태는 엉망이고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도 끊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의료기관은 어느 다중시설보다 깨끗해야 하는 것은 두 말하면 잔소리다. 단순히 질병치유를 위한 환자들의 배려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건강을 위해서도 청결을 유지하는 것은 필수사항이다.

그런데 얼마전 환경부의 의료기관 실내공기질 등 관리상태 점검결과 실망을 안겨주더니 이번에는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률이 선진국에 비해 떨어진다니 또 실망이다.

환경부가 지난해 의료기관, 지하역사, 보육시설 등 다중이용시설(8,318개소) 및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383개단지)의 실내공기질 등 관리상태를 점검한 결과,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을 초과한 시설로는 의료기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균, 병원체, 유해물질 오염에 의한 2차 감염의 우려가 가장 높은 곳이 의료기관이라고 볼 때 이는 심각한 일이다. 위생을 가장 우선으로 해야 할 의료기관이 이런 상황을 면치 못하고 있으니 환자들의 병이나 제대로 낳을지 의문스럽다는 지적은 당연한 것이다.

뿐만 아니다. 지난 2007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1년 동안 전국 57개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는 2,637건의 병원감염이 발생했다.

이는 질병관리본부와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가 전국 400병상 이상 종합병원 중환자실을 대상으로 전국병원감염감시체계(KONIS)를 운영한 결과에 따른 것이어서 전체 의료기관을 따지면 더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이런 문제의 근본 원인이 "감염관리인력" 부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때 당장이라도 "감염관리전담인력"배치를 의무화 해야한다. 의료기관이 재정적으로 지원하기 곤란하다면 정부의 일정부분 지원도 생각해봐야 한다.

현행 의료법에서 병원감염을 예방하고자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은 병원 내에 "감염대책위원회"를 설치하고(의료법 제47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43조), "감염관리실"과 "감염관리인력"을 두도록 했지만 결국 의무화 규정이 아니다 보니 이런 문제가 근절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알려진바에 따르면 상당수 병원에서는 직원이 겸임으로 활동하는 사례가 많아 전문성이 결여되고 있다는 지적이다.의료기관 평가대상병원 중 300병상이상 281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 기관당 감염관리전담인력 평균 수는 0.84명에 불과하다는 것만 봐도 문제의 심각성을 읽을 수 있다.

조금은 우려되는 것은 신종플루처럼 감염속도가 빠른 전염병들이 이들 의료기관에 침습할 경우 정부가 지정한 방역거점병원이 감염거점병원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혹시 이들 종합병원이 방역거점병원으로 지정되지는 않았는지 다시한번 점검할 필요가 있다. 또 이 참에 관련 제도를 적극적이고 엄격하게 정비하는 것이 호미로 막을 것을 포크레인으로 막는 누를 범하지 않는 일임을 명심해줄 것을 정부에 촉구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