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이 삶의 일부분이 되었을 정도로 이제는 숨길 이유도 없고 당당한 시대가 됐다. 비록 성형 미인이라고 할지라도 출세를 위해서라면 과감하게 수술을 결정하는 젊은 여성들이 앞으로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강남의 요지에는 성형 타운이 생겨날 정도로 젊은 여성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풍경은 대도시 대부분이 별반 다를바 없다. 이는 의사의 경우 20년 전보다 4배가 늘어난데 비해 성형외과 전문의는 무려 8배정도나 늘어난 것이 잘 입증하고 있다. 어디 그뿐인가 강남의 지하철 입출구의 광고판은 성형외과 광고로 도배질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세태와 비례해 나타나는 것이 사망사고다. 최근 한 대학에 수석 입학한 학생이 안면윤곽수술을 받다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한데 이어 1일 또다시 20대 여성이 턱 수술을 받은 후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성형수술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수술에 따른 사고는 언제나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막을 수 없는 불가분의 문제라면 몰라도, 충분히 해결이 가능한 문제라면 당장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 이런 문제를 내팽개치면 성형 천국의 이면에는 심심찮게 사망사고가 발생해 사회문제가 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사망사고는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인재라고 본다. 이미 충분한 원인규명이 가능해졌고, 의사들 스스로도 문제점을 잘 알고 있다.

그 첫번째 문제는 "성형외과 의사들의 과잉공급"이다. 성형외과가 돈 잘버는 과로 알려지면서 다른 과 전문의들까지 성형외과로 전향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이러한 현상은 고객 유치를 위한 과당경쟁을 유발했고 사고시 책임회피를 자연스럽게 하는 문제를 유발시켰다.

두번째는 의사가 상업화에 너무 물들어 나만 먹고살면된다는 장삿꾼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고객 유치의 무한 경쟁은 성형 수술의 부작용은 뒷전이고 무조건 환자를 끌어모아 무리한 수술을 강행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새로운 수술기법을 마치 자신의 노하우 인양 과시한다는 점이다. 네이버, 다음 등의 의료광고는 물론 여성잡지 광고의 상당수가 이런 유형의 광고라는 점을 비춰 볼 때 심각한 문제임에는 틀림없다.

세번째는 의료사고의 주체가 없다는 것이다. 일부이긴 하지만 성형외과 의사는 의료사고가 나면 일단 마취과 의사 탓으로 돌리는 것이 보통이다. 그것도 아니면 환자 잘못으로 돌린다. 이번 20대 여성 사망사건도 수술에 참여한 의사들은 경찰 조사에서 마취전에 검사를 했고 수술 결과도 좋았다며 사망원인을 알 수 없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이런 문제는 소송으로 이어진다. 따지고 보면 이런 문제는 성형외과 의사들은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게다. 옳지 않은 변명이다. 수술사고는 마취사고 뿐만이나라 다른 이유로도 발생할 수 있다.

네번째는 응급상황 대비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사고도 병원측은 정상적으로 수술을 마치고 회복실에서 안정을 취하던 김씨가 갑자기 구토를 하며 고통을 호소해 급히 인근 순천향대 병원 응급실로 옮겼으나 이송 도중 숨졌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응급상황에 적절히 대비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노출했다,

수술은 항상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개인병원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종합병원ㆍ대학병원으로 이동 중 사망에 이르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한미용성형외과학회가 마련한 종합병원ㆍ대학병원 연결 응급체계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것도 아니라면 자체적인 해결시스템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 그 한예로 다른 성형외과 전문의와의 공동 수술, 수술실-장비-의료인력 상호 이용, 수술기법을 공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다.

아무리 의학이 발달해도 의료사고는 없을 수 없다. 특히 성형외과 의사들은 대부분 수술을 하기 때문에 다른 의사들보다 의료사고가 많이 발생 할 수 있다. 목숨을 건 성형수술이 아닌 말 그대로 모자라는 부분을 보충해 주는 그런 성형수술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이런 일들이 말끔히 해결되지 않고는 어렵다.

보건당국은 20대 젊은 여성의 사망사고를 그저 경찰이 죄질을 가리는데만 안주하지말고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의료사고를 줄이는데 힘쓰야 한다. 만약 의료시장이 개방되고 외국인의 사망사고가 났다고 생각한다면 자칫 국제적 분쟁이 될 수도 있다. 호미로 막을 수 있을 때 호미로 막아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