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혈액부족에 따른 비상대책의 하나로 군부대 등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도 채혈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최근 혈액재고량이 크게 떨어져 일선 병원에도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나타나자 고육지책으로 내놓은 것이 이같은 발상이다.

물론 급한 불부터 끄고 봐야한다는 절박한 심정에서 나온 정책이라고는 이해하지만 피해에 따른 뒷일을 생각한다면 바람직하지 않다.

혈액부족 현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며 특히 매년 겨울철이면 혈액량이 급감해 이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군부대 등 말라리아지역에서의 채혈을 금지하고 있는 것은 혹시 만에 하나라도 발생할지 모르는 수혈에 의한 감염사고의 위험성 때문일 것이다.

이런 우려는 지난 2006년 잠복기에 있던 말라리아 감염자가 헌혈한 피를 수혈받은 사람 2명이 숨진 사태가 발생한 것이 그 위험성을 잘 입증하고 있다.

복지부는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 채혈을 해도 사전에 기준을 검토해 안전성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 증거를 갖고 채혈결정을 하면 문제가 없다고 하는 논리를 펴고 있지만 이는 땜질식 처방에 불과하다.

혈액 부족 사태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라고 볼 때 헌혈량을 늘리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수혈과 관련한 사고는 국정감사에서도 여러번 지적됐으며, 대안마련 촉구도 뒤따랐다.

그러나 이런 문제는 호들갑을 떨 때 뿐이지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원 상태로 돌아가 국민을 향해 혈액부족을 호소한다.

우리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앞장서 혈액수가를 올리고 적십자사 혈액관리 재정을 정상화 한 후 근본적인 대책마련에 착수할 것을 촉구한다.

헌혈 독려 만으로는 일시적 해결책을 벗어 날 수 없다. 만약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면 이 문제는 영원히 해결되지 않는다.

주로 학교 등의 단체헌혈에 의존하고 있는 현 상황에 비춰 볼 때 방학 등이 닥치면 헌혈량은 뚝 떨어지게 마련이다. 또 국민을 향한 헌혈 호소도 수혈로 인한 사고 등이 발생하면 덩달아 급감하기 마련이다.

외줄 타듯 의사와 환자들의 가슴 졸이는 혈액관리가 혈액의 "안전성"도 높이면서 안정적"인 공급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반드시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