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법을 위반해 품목허가가 취소되거나 해당 제약사가 업무정지를 당한 불량의약품의 90% 이상이 회수·폐기되지 않아 국민들이 이들 약의 대부분을 복용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주고 있다.

이런 현상은 문제의 의약품을 앞장서 회수·폐기 하지 않은 해당 제약사도 문제지만 이를 확인하고 관리해야 할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오히려 그동안 방기하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물론 문제의 의약품들이 인체에 치명적이지 않아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 90%가 회수되지 않아도 남의일보듯 했겠지만, 혹여 이들 의약품들로 인해 피해를 본 국민은 없는지 이 또한 알수 없는 일이다.

식약청의 주 업무는 제조업무정지 처분을 내리는데만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내려진 조치를 잘 이행하고 있는지, 또 문제 의약품을 가장 빠른 시간내 회수·폐기돼 국민들의 피해를 최대한 줄이는데도 처분을 내리는 만큼 심혈을 기우려야 할 것으로 본다.

식약청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대통합민주신당 장복심 의원에게 제출한 "품질불량의약품 회수·폐기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5년 한 해 부정의약품 건수는 96건으로 752만4,960건이 생산·유통돼 이 가운데 99만5,172건(13.2%)만이 회수·폐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87%를 국민이 복용한 것이다.

이런 현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늑장대응에 따른 문제는 의약품이건 식품이건 항상 국민들이 상당수가 복용하고 난 뒤 호들갑을 떨었다. PPA 감기약 사건과 생동성 시험 사건이 그랬으며, 포르말린 골뱅이, 만두속 사건 등 사회적으로도 큰 파장을 불러 일으켰던 사건뒤에는 하나같이 국민이 이미 상당량을 복용한 후에 벌어졌다.

뿐만아니다. FDA등 외국 기관에서 문제 의약품에 대한 어떤 조치가 내려지면 곧바로 국내 유통중인 해당약품에 대한 조치를 내리는 것이 아니라 눈치를 살피듯 언론의 보도행태를 살펴보고 조치를 내린다는 핀잔까지 듣고 있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의약품이 출고된 시점부터 철저한 관리를 함으로써 부정의약품이 판매 소진되기 전에 문제점을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회수폐기 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현재는 생산된 약품들은 생산과 동시에 거의 바로 유통돼 한 두달 사이에 80~90%소진되기 때문에 분석시험후 불량이라고 해도 회수할 수 있는 경우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이런 현실을 내버려 둘수는 없다.

이미 수없이 반복되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답습을 하고 있는 것은 관련 제도에 맹점이 있거나, 아니면 관리소흘 또는 당국의 무관심으로 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식약청은 부정의약품이 사전에 제조되지 않도록 의약품제조 품질 관리기준(GMP)을 보다 강화하고, 사건 발생 전은 몰라도 발생시점부터 일정기간까지 회수 폐기되지 않은 의약품에 대해서는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

우려하건데 제조업무정지 처분을 과태료로 갈음 할 경우 회수 폐기되지 않는 의약품의 판매 수익금이 더 크다면 고의적으로 회수 폐기를 방기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제발 고의가 아니기를 바랄 뿐이다.

우리는 이런 문제 해결에 의사와 약사, 도매업체도 반드시 동참해야 한다고 본다. 문제 의약품이 발생하면 의사나 약사는 관련 정보를 입수해 해당의약품을 처방 또는 조제해서는 안된다. 또 도매업체는 빠른 시간내 문제 의약품의 유통을 중지시키고 유통시킨 의약품 회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런 다각적인 공조 시스템이 없이는 미 회수 폐기 의약품 국민 복용은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다. 꼭 문제가 발생하고 나서 국민적 동요가 일어나면 그때서야 장관 청장 등이 나서 "이것은 안심해도 된다" 는 등의 너스레를 떠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바라건데 이제부터라도 제도를 더욱 강화해 국민이 가만히 앉아서 당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은 막아야 할 것이다. 눈가리고 아옹하는 이런 문제를 계속 방치하다가는 분명히 국민적 저항이 뒤따를 것임을 경고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