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획기적 진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 새로운 면역반응 기전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져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서울대병원 병리과 정두현 교수팀은 인체 내에서 면역조절세포의 하나로서, 자가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NKT세포가 오히려 관절염을 유발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에서 규명해냈다고 밝혔다.

NKT세포는 자가면역질환, 종양, 감염 등에서 다양한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면역조절세포의 하나다.

이 세포는 외부에서 바이러스 등이 침투해오면 활성화되어 면역을 증강시켜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세포는 과도한 면역반응 때문에 자신의 세포 또는 조직을 파괴함으로써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에 대해서는 면역을 억제함으로써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그런데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의 하나인 류마티스 관절염에서는 면역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관절염을 유도함으로써, 기존에 알려진 자가면역질환에서 NKT세포의 기능과 반대되는 면역기능이 있음을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발견한 것이다.

연구팀은 100여마리의 실험용 쥐를 유전자 조작을 거쳐 NKT세포가 없는 쥐와 NKT세포가 있는 정상 쥐로 만들어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일으킨 뒤 관절의 붓는 정도를 측정하고 관절 조직에서 염증세포가 번진 정도를 측정했다.

이 결과 NKT세포가 없는 쥐는 관절염이 거의 없었던 반면 NKT세포가 있는 정상 쥐는 관절염이 오히려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정두현 교수는“이는 관절 내에서 NKT세포가 IL-4 및 감마 인터페론을 분비하여 염증을 억제하는 사이토카인인 TGF-β의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유발한다.”며“관절염 초기에는 NKT세포가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발생을 억제할 가능성이 크지만 일단 관절 내로 염증이 번진 상태에서는 NKT세포가 오히려 염증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정교수는 또 "관절염은 대개 수십년 지속된다"면서 "관절염 초기에는 NKT세포가 관절 밖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도하는 면역세포를 억제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을 억제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효과적인 관절염 치료제 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NKT세포가 관절 내에서 염증을 더 유발할 수도 있음을 반드시 고려해야한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면역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imfact factor 15.302) 1월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