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체계 및 불량 한약재 대한 문제가 심심찮게 발생하있는 가운데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주최로 "유통 한약재 품질 향상을 위한 세미나"가 열려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됐다.

이날 주제발표를 진행한 대한한의사협회 성낙온 약무이사는 "수입의약품의 분류기준이 미비하고 이산화황(SO2) 등 위해물질 검출기준이 미확립되지 않고 있다"며 유통상의 문제점을 집중 지적했다.

성 이사는 "한방의료기관은 한약재의 소비기관일 뿐 유통과정에 참여하지도 않으면서 매년 불거지는 각종 문제 때문에 최대의 선의의 피해자가 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가 관련 규정을 개선하고 이를 엄격히 적용해 유통문제를 개선해줄 것"을 주장했다.

그는 특히 ▲수입의약품 품질검사 관리 미비 ▲이산화황 검출기준 (10ppm) 미적용 ▲한약판매업소의 자가 포장 및 자가규격 허용 ▲식품용 및 의약품의 분류검사체계 미비 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목했다.이날 세미나에서는 한약제제 제조상의 문제도 지적됐다.

대구지방식약청 장영욱 약무주사가 발표한 대구지역 16개 한약제제업소의 위생시설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한약재 제조업소가 영세하고 외부에서 작업이 이뤄지고 있어 분진 흙 등으로 인해 위생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부제조업소에서는 고독성 농약 "에피훔"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의약품과 식품의 통합관리 기준을 마련하고 한약 제조업소의 시설기준을 개선해야 한다고 장 주사는 강조했다.

식약청 생약평가부 박주영 연구관도 "생약의 유해물질 기준 제개정 방안"을 통해 한약재의 안전성은 크게 부자, 행인, 반하 등 약재 자체의 독성을 비롯해 중금속 미생물 등 오염물질과 잔류농약, 이산화황 등 잔류물질 등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물질로 구분하고, 중금속 잔류농약 규정 정비에 대해 앞으로의 방향을 소개했다.

세미나에서는 유통과 관련해서도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적되기도 했다.그동안 식약청 등 관련 기관들이 식품 용도로 유통되는 한약재에 대한 품질 검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 때문에 "황금" "독활" 등 의약품용 한약재가 식품용으로 수입, 다시 의약품으로 전용되고 있는 등 이로인해 불량한약재 유통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약재수급및유통관리규정에는 농민이 생산한 한약재의 경우 농민 스스로가 규격을 정해 포장하도록 허용하고 있어 수입한약재를 국산으로 둔갑시킬 수 있는 여지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밖에도 "식약청이 연이은 언론보도에도 불구, 10ppm 이하로 규정한 이산화황검출기준을 지난 3월 입안예고까지 해놓고 아직 고시하지 않아 문제를 알고도 방치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이와 관련 성 이사는 "수입한약재는 식품은 식품대로 약품은 약품대로 구분검사를 엄격히 해야 하고 국산한약제도 누가 생산한 것인지 즉시 알 수 있도록 한약유통체계를 일원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이사는 또 "농민이 생산한 국산한약재를 단순포장하는 것과 판매업소가 자가규격화하는 것을 법적으로 규제하고 우수한약재배관리기준(GAP), 우수한약제조관리기준(GMP), 우수한약유통관리기준(GSP) 등 우수한약관리기준을 조속히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세미나 장에는 관련 업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 관심이 고조됐는데, 참석자들은 "토론의 결과를 모아 불량한약재가 유통되지 않도록 법적 제도적 장치를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