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한해 생활습관 관련 질환에 속하는 비만·당뇨·고혈압 관련 환자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신언항)이 발간한 2003 건강보험심사평가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건강보험 가입자 4,696만명이 연간 1인당 평균 14.4일 진료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00년 11.8일에 비해 22% 증가했다.

또한 2000년과 비교시 연령별 진료일수는 5세미만이 13.4% 감소한 반면 5∼9세 5.8%, 10대 32.3%, 20대 22.0%, 30대 22.8%, 40대 45.3%, 50∼64세 31.9%, 65세이상 노인이 54.7% 각각 증가했다.

노인층을 제외하면 40대가 의료기관 이용횟수가 가장 크게 상승, 주요 원인은 사회경제적 이유로 질병 발생위험도가 높아진 사유 이외에 가벼운 질환이라도 조속히 병·의원을 찾아 조기치료 및 예방하려는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변화했기 때문으로 심평원은 분석했다.

또한 9세미만 소아 진료실적이 감소하거나 증가률이 적은 것은 저출산·출생아수 감소 영향으로 분석된다.특히 서구화된 식생활, 음주, 흡연, 과식, 운동부족 등 잘못된 생활습관의 반복으로 질병발생요인이 높아지는 고혈압, 비만, 동맥경화, 폐암등 생활습관 관련 질환으로 지난해 국민의 16%인 752만명이 치료 받았다.

2000년 대비 환자수는 49.8%, 병·의원 방문일수는 54.9% 상승했다.

주요 생활습관 질환의 2000년 대비 의료기관이용 환자수 증가는 골다공증(89.3%), 고콜레스테롤(80.9%), 고혈압(53.9%), 당뇨병(45.4%), 심장병(29.0%), 폐암(28.7%), 동맥경화(28.5%), 알코올성 간질환(21.3%)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만의 경우 치료 환자수(16천명)는 비교적 적지만 9배(875.7%)나 대폭 증가하였다.

연령별로 전체환자 중 50대가 41.1%, 65세이상 노인 34.6%, 40대 16.5%, 30대 5.5%, 20대 1.6% 19세이하 0.7% 순으로 분포되어 고연령일수록 생활습관 관련 질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서구화된 식생활, 음주, 흡연, 과식, 운동부족 등 잘못된 생활습관의 반복으로 질병발생요인이 높아지는 고혈압, 비만, 동맥경화, 폐암등 생활습관 관련 질환으로 지난해 국민의 16%인 752만명이 치료 받았다.

2000년 대비 환자수는 49.8%, 병·의원 방문일수는 54.9% 상승했다.

주요 생활습관 질환의 2000년 대비 의료기관이용 환자수 증가는 골다공증(89.3%), 고콜레스테롤(80.9%), 고혈압(53.9%), 당뇨병(45.4%), 심장병(29.0%), 폐암(28.7%), 동맥경화(28.5%), 알코올성 간질환(21.3%)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만의 경우 치료 환자수(16천명)는 비교적 적지만 9배(875.7%)나 대폭 증가하였다.

연령별로 전체환자 중 50대가 41.1%, 65세이상 노인 34.6%, 40대 16.5%, 30대 5.5%, 20대 1.6% 19세이하 0.7% 순으로 분포되어 고연령일수록 생활습관 관련 질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다른 질병과 달리 비만으로 인한 환자는 19세이하 연령층이 11.8%를 점유하여 청소년 비만현상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활습관 관련 질환은 대부분 질병이 악화되기까지 아무런 자각증상없이 몇 년이고 문제가 없이 진행되는 길고도 조용한 병이기 때문에 예방을 위해 어려서부터 운동과 생활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는 지적한다.

또한 노인진료비가 총진료비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2000년 17.4%(2조2893억원), 2001년 17.8%(3조681억원), 2002년 19.3%(3조6811억원), 2003년 21.3%(4조3723억원)으로 해마다 급격히 상승하는 추세이며 진료비 평균 증가율도 24.4%로 총진료비 증가율(12.4%)보다 2배정도 더 높았다.

노인다발생질병은 입원의 경우 노인백내장, 뇌경색증, 폐렴, 당뇨병, 폐질환 순이며 외래는 고혈압, 배(背)통, 무릎관절증, 급성인두염, 급성기관지염 순으로 나타났다.

2000년 이후 크게 증가한 질병은 위-식도 역류질환 3.2배, 무릎관절증 3.1배, 전정기능의 장애 2.6배, 현기 및 어지러움 2.5배, 치매 2.4배씩 각각 증가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