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의 근로자가 각종 스트레스 증세를 보였으며, 전체 근로자의 4.5%는 치료가 필요한 수준의 우울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우종민 교수는 지난 2003년 6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전국 10개 사업장의 직장인 7,447명을 대상으로"업무상 스트레스와 우울"등 정신건강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결과, 20∼30%의 근로자가 각종 스트레스 증세를 나타냈으며, 전체 근로자의 4.5%는 치료가 필요한 수준의 우울증을 겪고 있었다.

우울증상은 특히 20, 30대의 젊은 미혼 근로자, 교대제 근로자, 여성 근로자에서 빈발하였으며, 원인으로는 업무에 대한 물질적 정신적 보상이 부족한 점이 우울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우울 증상수준별 분포를 보면 응답자의 평균을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고려하였을 때, 응답자의 13.09%는 다소 우울한 기분을 느끼고 있으며, 4.5% 정도는 다른 직장인에 비해서 심각한 우울한 기분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직장인 중 4.5%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우울 증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성별로는 남자에 비해 여자 근로자가 3.8배 더 우울 증상을 많이 나타냈으며 근무 형태별로는 교대제 근무자가 3.9배 더 많았다.

이와관련 우 교수는 교대제 등 수면 주기가 달라지는 특수 직종 근무자에 대해서는 별도의 우울증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령별로는 10대 후반, 20대, 30대 순으로 우울 증상을 자주 호소했는데 이는 젊고 의욕적으로 일해야 할 30대 이하 (40세 미만) 근로자에서 심한 우울증상이 더 자주 나타나 우울증상이 직장의 정신건강과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우 교수는 분석했다.

의사 진단이 필요할 정도의 집단 비교시 30세 미만의 집단에서 약 7% 정도였으나. 30대, 40대, 50대는 1∼2% 정도의 수준으로 떨어졌다.

우울 증상을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을 살펴보면, 모든 하위 요인과 상관이 높았으며 특히, 보상이 부적절함에 따른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조직체계가 수직적 권위적일수록 우울 증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울 증상은 스트레스 반응 중 분노감과 신체 증상과 강한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이직의사나 의욕 저하와도 높은 상관을 보였다.

한편 이번 결과는 10월 24일부터 10월 27일까지 일본 고베에서 열린 제 18차 세계사회정신의학회에서 발표됐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