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A 성분 감기약 사태와 관련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이들 의약품에 대해 판금조치를 내린지 두 달이 훨씬 지났다. 그동안 제약사들은 스스로 생산 중단을 선언했고, 약국들은 자진수거를 한답시고 호들갑을 떨었다.

그런데 아직도 문제의 PPA 성분 감기약이 시중에 유통되거나 약국 등에 보관돼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런 현상은 유통구조가 잘못됐던지 아니면 행정당국의 말발이 먹혀들지 않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

약물의 위험성 여부야 차치하더라도 일단 당국의 판금조치가 내려진 이상 이들 의약품은 곧바로 전량 회수됐어야 하며, 제약사나 도매상의 창고, 약국 등에 비치돼 있어서는 안 된다.

식약청이 오늘부터 약국, 도매, 제약 등에 판매목적으로 보관중인 PPA 감기약에 대한 일제단속을 전국적으로 실시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이게 얼마나 낭비인가. 당연히 자신 수거해 폐기처분 했어야 하는 판금조치 의약품이 두 달 넘도록 전량 회수가 안 된다는 것은 뭐가 잘못돼도 한참 잘못됐다.더욱이 최근 들어 세계적인 의약품들의 부작용 사례들이 심심찮게 발표되고 , 이에 따른 국가 간의 기준 조차 모호한데 아직까지 이런 문제하나 매끄럽게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은 심각한 일이다.

이번 단속만 보자. 식약청 공무원 몇 명이 단속에 나서는 것이 아니다. 식약청 본부, 지방청, 시도 등 관계당국과 지역 약사회 등을 포함 적어도 340여명이 점검에 참여한다.

시간으로 보나, 경비로 보나 제도적 장치만 잘 돼 있으면 굳이 안 해도 되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당국의 판금조치가 내려지면 관련 업계나 단체들이 앞장서 빠른 시간 내 자진수거에 나서 제2의 문제 소지를 최소화하는 그런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한다. 그것이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당국과 업계 간의 숨바꼭질은 영원히 다람쥐 쳇바퀴 돌듯해야 한다.

우리는 식약청이 이런 소모적인 일에 대거인력을 투입 점검에 나설 것이 아니라, 어떤 이유에서건 조치가 내려지면 일사분란하게 결과 도출되는 그런 제도적 장치를 만드는데 심혈을 기우려 줄 것을 촉구한다.

아울러 업계나 단체도 국민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당국의 조치에 적극 협조해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의약품 부작용 문제는 약이 있는 한 항상 상존하게 마련이다. 관절염치료제로 최근 개발사인 미국 머크사의 자진회수조치를 우리는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그들과 우리가 뭐가 다른지를 말이다.

그래야만 PPA사태가 제약사들이 재고품을 팔아먹기 위해 식약청을 이용했다는 불신의 오명을 떨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번 단속에 적발되는 업체나 약국에 대해서는 보다 가혹한 처벌을 통해 더 이상 이런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교훈의 표본이 되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