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연구에 대한 투자없이는 진정한 의료개혁은 없다는 지적이다.

또한 의료제도 문제 지적시 단순한 시위가 아닌 임상연구에 근거한 객관적인 자료로 정책입안자와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는 주장이 의료계 내부에서 제기됐다.

허대석 서울대 교수는 15일 서울대병원에서 열린 EBM 확림을 위한 임상연구 활성화 방안 심포지움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허 교수는 비합리적인 탁상공론에서 결정된 선심성 제도 개혁은 의료기관의 수지를 악화시켜 결국 국민들이 받는 의료서비스 질을 저하시키거나 의료 보험 재정의 적자라는 다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의료계도 자성을 해야하는데 의료재원을 낭비하는 불합리한 관행으로 재원이 소진되어 더 필수적인 진료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점은 없는지 반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기존 의료제도 문제점 지적시 시위가 아닌 임상연구에 근거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면서 정책입안자와 국민들을 설득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우리의 경우 개혁을 추구해 왔지만 선진국에서는 임상연구를 통해 기존 의료제도를 재평가, 낭비적인 요구를 제거하여 절약된 재원으로 새로운 요구를 받아들이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작업을 통해 꾸준히 제도를 개선, 굳이 개혁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허 교수의 설명이다.

이와관련 허 교수는 선진국제도를 주먹구구식으로 끼워 맞추기 보다는 우리 의료환경에 근거한 임상연구에 먼저 투자, 누가 보아도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축적하고 이를 토대로 의료정책을 수립할 것을 주장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