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집권2기 개각을 앞두고 복지부 장관 물망에 오르내린 인사가 한둘이 아니다. 이름만 대면 금방 알수 있는 인물들이 개각이 확실시되고 있는 지금까지도 심심찮게 거론되고 있다.

김홍신 전의원에서 부터 출발한 복지부 장관설은 권기홍 전 노동부장관, 이성재 건강보험공단 이사장, 정동영 전 의장, 정동채 의원을 거쳐 이제 김근태 전 원내대표에 까지 왔다.

물론 정치권에서 흘러나온 이야기다 보니 정확한 근거는 없다고 본다. 매사 청와대가 장관 인선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고 밝혔지만 이번 복지부 장관 인선은 어느때보다 관심의 대상이었다.

4.15총선은 전 후는 물론, 현재도 의약분업을 놓고 의약계가 첨예한 대립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정치가 막대한 영향력을 미칠 것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총선에서 각 단체들은 자신들의 뜻을 세상에 들춰내놓고 보란듯이 그당과 후보자를 밀었다. 정치권을 통해 자신들의 뜻을 관철하겠다는 의지가 어느때보다 강했다.

그런데 지금 연일 들썩거리는 복지부 장관 인선을 놓고 많은 사람들이 "그 자리가 대권고지를 향한 행정의 연습장이 되서는 안된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즉 정치인이 자신의 후일을 위해 거쳐가는 그런 부처가 아니라, 진짜 역량있는 정책가가 복지부 수장으로 앉아 산적한 문제를 풀어내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의약분업은 김대중 정부에서도 해결하지 못한채 노무현 정부로 넘어왔고, 여전히 휴화산처럼 남아있는 골치아픈 정책의 표본이다.

국민들도 실익을 떠나 그간의 논쟁 때문에 귀찮은 존제로 여기고 있다. 오히려 예전으로 돌아갔으면 하는 마음을 표출하고 있는 정도다.

정부가 심혈을 기우려 실행한 의약분업이 벌써 몇년째 이런 논쟁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의약분업 이후 발생한 문제들 역시 수 없이 많지 않은가.

우리는 복지부 장관 자리가 이런 연유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라고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마치 예산배정이나 서열에 따른 후 순위 자리가 아니라는 것을 이참에 꼭 밝혀두고 싶다.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지는 매우 중요한 부처가 복지부 장관 자리인 만큼 여기에는 될 수 있으면 정치색채를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지금 세간에는 현 복지부 장관이 잘하는데 굳이 교체할 필요가 있는가라는 목소리도 들리고 있다. 그것은 결코 현재 거론되고 있는 인사들의 면면이 복지행정의 적격이 아님을 지적하는 것이리라 생각되어진다.

복지부 장관 자리는 정치인이 나눠먹는 그런 자리가 아니다. 보건 복지 행정에 혜안을 가진 전문가가 현실적 문제를 풀어내고, 국민의 안녕을 위해 분골쇄신하는 그런 모습을 보여야 한다.

제발 어떤 일이건 국민이 중심이 서는 그런 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해 본다. 또 몇개월만에 장관을 갈아 치울 것인가. 곰곰히 되세겨보는 인사를 국민들은 지켜보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