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서 기어 준 것인가. 아니면 엄포에 두 손을 든 것인가. 제약협회가 일반약 활성화를 위해 일반약위원회를 출범한지 채 며칠도 안돼 좌초 위기를 맞고 있다.

당초 13개 제약사가 참여해 발족한 일반약위원회는 의료계의 처방 중지 경고로 6개사가 탈퇴하고 조만간 1개사가 더 탈퇴한다는 것이다.

의료계의 불만표출에 제약협회가 의사의 처방권 침해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불씨는 꺼지지 않는다.

참으로 한심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의사들의 엄포 몇 마디에 “오메 기죽어”식으로 탈퇴한 제약사도 그렇지만, 의사들의 압력수단도 치졸하기는 마찬가지다.

속내야 어찌됐건 결과만 놓고 보면 또 밥그릇 싸움이다. 한마디로 왜 내 밥그릇을 넘보느냐 하는 것으로 풀이 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번 문제는 정확히 짚고 넘어가야할 것이 있다. 왜 제약사들이 일반약 활성화를 위한 행동을 공론화 했느냐 하는 것이다.

의약분업이후 국내 제약사들의 위축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여기게 장기불황까지 겹쳐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반면 다국적 제약사들은 경기호황은 눈에 띄게 늘어났다.과연 이런 현실의 책임이 의사들에게 없다고는 말 할 수 없을 것이다. 물론 환자를 위해 오리지널 약을 처방한 것이 무엇이 잘못됐냐고 하겠지만 변명이 될 수는 없다.

바로 이런 악순환의 굴레를 벗어나 보고자 제약사들이 일반약을 활성화해 돌파구를 마련해 보고자 했던 것으로 풀이 할 수 있다.

그것도 의사들의 처방권 침해가 아닌 각 제약사의 홍보를 통해 이런 현실을 알리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데 그 결과는 어떤가. 아무리 좋은 의도였건 아니건 결국 해체위기까지 왔다. 의사들이 관련제약사 전문약을 처방하지 않겠다는 경고 한마디에 얼음 녹듯 무너져 내린 것이다.

허약하기 짝이 없는 제약협회도 그렇지만, 문제의 해결책을 불매라는 엄포로 위원회를 해체 시키려는 내과개원의협의회의 처세도 문제다.

제약계와 의료계는 불가분의 관계다. 공생과 상극의 양 단면을 갖고 있는 악어와 악어새 같은 연결고리를 갖고 있다.

하지만 칼자루는 의사들이 쥐고 있다. 의사들의 처방이 한 제약사의 생존권을 좌우 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렇다보니 약을 넣기 위해 엄청난 리베이트를 갖다 바치면서도 아무 말도 못하고 있는 것이 제약사들이다. 바로 이런 현실이 지금 벌어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우리는 이참에 국내 의료계와 제약계가 서로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를 촉구한다. 제약 없이 의료 없고, 의료 없이 제약이 있을 수 없다.

2005년 의료시장개방, 글로벌 신약 없는 국내 제약산업이 않고 있는 현실적 문제는 두 단체가 풀어내야 한다.

이런 문제를 정부도 그냥 보고만 있어서는 안 된다. 니 밥그릇 내 밥그릇 찾다가는 모두 수렁으로 빠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