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지원하고 있는 우리 정부의 대북 보건 의료분야 지원방식을 획기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무조건 퍼주기식이 아닌 북한 보건 의료 분야의 혁신을 가할 수 있는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는 것이다.

북한에 의약품을 지원해주고 있는 시민단체들은 지금까지의 지원 양상은 중복과 편중 일변도여서 오히려 지원 효과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는 이번 용천 폭발사고와 관련한 지원에서 잘 나타났듯 단순한 의약품 지원이 북한의 현실적 보건 의료 문제를 해결 할 수 없다는 것.

따라서 지금까지의 대북 보건 의료지원에서 탈피해 생산설비 지원에 초점을 맞춘 지원사업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다.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등 시민단체들은 "지금까지 수십차례에 걸쳐 대북지원을 해 왔지만 그 효과는 생산설비 지원보다 훨신 미미한 수준"이라며 "설비 지원은 초기 자본 투입에 대한 부담은 클지 모르나 일단 설비가 완공돼 가동되면 그 효과는 더 크게 나타날 것이 확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우리민족서로돕기 운동본부측은 "생산설비 지원은 일정 시점이 지나면 같은 비용으로 완제 의약품을 지원할 때 보다 몇배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며 "이는 북측의 유휴인력까지 활용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소득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민단체들은 이러한 대북지원 사업은 민간단체 추진보다는 정부가 주축이 돼 공식적인 체널을 갖고 추진하는 것이 훨신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익명을 요구한 학계 한 관계자는 "그동안 북한과의 협상에서 우리 정부는 단순히 의약품 얼마를 보내주고 비료 몇 톤을 보내주는 탁상행정식 토론으로 일관해온 인상이 짙다"면서 "북한 당국과 본격적인 협의를 통해 생산설비 지원을 체계적으로 정착시키면 북한 주민의 건강증진에도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가 지난해 일일 비타민 20만정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지어준 것과,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평양 낙랑구역 정성제약공장에 연간 500만병 생산규모의 수액제 공장 건설 지원이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무한정의 수시 의약품 지원보다 설비를 지원하면 향후 원료의약품만 지원하면 북한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 및 사고 수습에 더 효율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보건 의료분야는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는 시급성을 요구하고 있다"며 " 특정 약품이 집중적으로 지원되는 것은 곁코 바람직하지 못한 지원 방법"이라며 변화를 촉구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