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사 공동화" "다국적제약사 국내 시장 점령" 의약분업 이후 현실로 다가온 이 문제가 여전히 개선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다국적제약사들의 성장과 반비례해 나타나고 있는 국내제약사들의 추락은 자칫 국내 제약산업의 식민지화를 앞당기지 않을까 걱정이다.

특히 국내 제약경기 위축은 단순히 제약산업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연계된 모든 산업에 파장이 미칠것으로 보야 특단의 대책을 필요한 시점이다.

뿐만아니다. 이런 문제의 파생에는 의사들의 다국적 제약사 오리지널 고가약 의존율이 높은데다 이를 대적할 약이 없는 지금으로서는 그저 바라만 보고 있어야 하는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 결과는 분명히 국민부담이라는 전체의 고통으로 집약 된다는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이는 지난해 보험청구액(EDI기준) 5조2,076억원 가운데 29개 다국적 제약사들의 청구금액이 27.2%인 1조4,168억원인 반면, 450여개의 국내제약사 청구금액은 3조7,908억(72.8%)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이 잘 입증하고 있다.더욱이 다국적제약사들의 국내시장 점유율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다, 보험청구액 역시 100대 품목 가운데 46품목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이런 현상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국내 제약업계는 정부의 특단 대책이 없는 한 결국 제약의 식민지화라는 오명을 달게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수렁으로 내 몰리고 있는 국내제약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태스크포스팀을 만들던가, 아니면 신약개발에 대대적인 투자를 실시해야한다.

제약업계 스스로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은 약업경기 침체에 동반해 결국 정부의 약값 통제권까지 상실할 우려를 낳고 있다.

더군다나 보험청구액 상위 10대 품목중 9개 품목이 다국적 제약사가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정부의 의식전환이 꼭 필요한 시점임에는 분명하다.

우리는 정부가 업계에만 미루지 말고 앞장서 이러한 양극화 현상을 해소하는데 주력해주길 당부한다.

지금 다국적제약사들과 국내제약사간의 마케팅 역시도 이미 공정경쟁을 넘어섰다고 본다.

어디를 봐도 현실로서는 다국적제약사들을 따라잡을 수는 없는 현실이다. 2005년 의료시장이 개방되고 선진의료들이 몰려오면 이런 현상은 더욱더 심화될 것이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불행한 결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의 각성을 다시한번 촉구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