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현숙 의원(국회 복지위이 15일 여성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2013 청소년백서’ 및 ‘청소년 가치관 국제비교조사’자료에 따르면, 경제적 환경이 좋지 못한 청소년의 약 16%가 가족과 대화를 전혀 하지 않거나, 거의 하지 않는 ‘가족과의 소통 단절’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중‘주로 아빠와 대화한다는 청소년 비율’이 8.0%(여자청소년은 5.2%)에 불과해 10명 중 1명이 채 되지 않았으며, 대화주제 역시 ‘학업 및 진로문제’에 편중더ㅔ 청소년과 가족 간의 다양한 소통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013 청소년백서’에 따르면, 가정의 경제적 수준별로 ‘평소 가족과의 대화 정도’는 크게 차이가 났다.

경제 환경이 좋은 청소년(경제적 수준‘상층’)은 단 3.7%만이 가족과의 소통이 단절(거의 대화가 없거나 전혀 하지 않는 수준)된 것으로 응답한 반면, 경제 환경이 좋지 못한 청소년(경제적 수준‘하층’)의 경우, 가족과의 소통이 단절(거의 대화가 없거나, 전혀 하지 않는 수준)된 응답 비율이 무려 15.8%에 달해 상층에 비해 약 4배가 넘는 차이가 났다.

또한 평소 가족과 대화를 ‘자주 한다’는 응답 비율 역시, 경제적 수준이 낮아질수록 점점 줄어들어 상층 82.8%, 중상층 77.5%, 중층 70.2%, 중하층 59.6%, 하층은 49.5%로 상층과 하층 간에 약 2배에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주로 대화하는 가족이 ‘어머니’라는 청소년은 71.5%에 달한 반면, ‘아버지’와 주로 소통한다는 청소년은 10명 중 1명도 채 되지 않아 가족 내 아버지와 자녀 사이의 대화가 거의 단절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2010년도 조사에서 ‘주로 아버지와 소통한다는 비율’은 여자가 5.8%, 남자가 10.8%로 전체 8.4%였으며, 2012년도 조사에서는 더욱 심각해져 여자는 5.2%, 남자는 10.5%로 전체 8.0%에 불과했다.

반면 주변 국가인 중국의 경우, 주로 아버지와 대화한다는 남자 청소년 비율이 한국에 비해 18.3%p 높은 29.1%에 달했으며, 여자 청소년의 경우도 13.6%p 높은 19.2%였다.

또한 일본의 경우도, 남자 청소년은 11.3%가 주로 아버지와 대화한다고 나타나, 중국과 일본에서 아버지와 주로 대화한다는 청소년의 비율이 한국의 청소년(남자 10.6%, 여자 5.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이 가족과 가장 많이 대화를 나누는 주제 역시 ‘공부 및 성적, 진로’를 선택한 청소년이 44.6%에 달해, 가족 간의 대화주제가 ‘학업 및 진로’문제에 편중돼 있었다.

이와 관련, 김현숙 의원은 “경제형편이 좋은 않은 가정의 16%에 달하는 청소년이 가정 내에서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 가족 간의 부족한 대화는 건전한 청소년의 가치관 형성에 저해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크게 성장하는 청소년 시기에 대한 가족 공동체의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면서 “특히 정부는‘대화의 통로’가 유지되도록 하는 부모 교육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