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갑상선기능저하증(E03)’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조사한 결과, 진료인원은 2016년 47만2천명에서 2020년 56만2천명으로 9만1천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4.5%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7만1천명에서 2020년 9만2천명으로 29.4%(2만1천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40만명에서 2020년 47만명으로 17.4%(7만명) 증가했다.

 2020년 기준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56만2천명) 중 50대가 23.4%(13만2천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1.6%(12만1천명), 40대가 18.5%(10만4천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 23.2%, 50대 20.8%, 70대 16.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3.9%로 가장 높았고, 60대 및 40대 이상이 각각 21.2%, 19.4%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박경혜 교수는 50~60대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연령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는 질환으로, 50대~60대가호발연령 이라기보다는 건강검진이나 다른 사유에 의한 병원 진료 시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하게 되면서 많이 발견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6년 1169억원에서 2020년 1616억원으로 2016년 대비 38.2%(447억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8.4%로 나타났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간 살펴보면, 2016년 24만8천원에서 2020년 28만7천원으로 15.9% 증가했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5만5천원에서 2020년 28만5천원으로 12.1%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24만7천원에서 2020년 28만8천원으로 16.7% 증가했다.

한편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의 주요 증상은 정신활동이 느려지고 기억력이 감퇴해 치매로 오해받는 경우도 있다. 대사 저하의 증상이 매우 다양하고 애매모호하기 때문에 다른 질병의 증상과 구별이 쉽지 않으며, 호르몬 결핍이 서서히 진행하는 경우 환자들이 증상을 알아채지 못하기도 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