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이 여러형태로 빠지는 탈모증 환자가 지난해 23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남성이 13만여명으로, 여성 10만명에 비해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30대가 5만여명으로 가장 많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 ‘탈모증(L63~L66)’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15일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21만2000명에서 2020년 23만3000명으로 2만1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4%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11만7000명에서 2020년 13만3000명으로 13.2%(1만6000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9만5000명에서 2020년 10만명으로 5.8%(6000명)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탈모증’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3만3000명) 중 30대가 22.2%(5만2000명)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1.5%(5만명), 20대가 20.7%(4만8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30대 25.5%, 40대 22.3%, 20대 22.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4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0.4%로 가장 높았고, 50대 및 20대가 각각 19.6%, 18.6%를 차지했다. 특히 10대부터 40대까지는 여성보다 남성이 많았고, 9세 이하와 50대 이상은 남성보다 여성이 많았다.

2016년부터 2020년 까지 5년 동안 ‘탈모증’ 질환으로 한 번 이상 진료를 받은 전체인원은 87만6000명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성별로 살펴보면, 20대(20.6%), 40대(21.2%), 30대(22.7%)순으로 나타났으며, 20~40대 모두 약 20% 대로 비슷한 진료인원을 보였고, 50대부터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30대(25.9%), 20대(22.5%), 40대(21.5%) 순으로 나타났으며, 20~40대 모두 약 20% 대로 비슷한 진료인원을 차지했다. 여성은 40대(20.8%)로 가장 많았고, 30대(18.7%), 50대(18.7%) 순으로 나타났으며, 60대부터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탈모증’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6년 268억원에서 2020년 387억원으로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9.6%로 나타났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간 살펴보면, 2016년 12만6000원에서 2020년 16만6000원으로 31.3% 증가했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016년 12만5000원에서 2020년 16만3000원으로 30.4%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12만8000원에서 2020년 17만원으로 32.7% 증가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