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기준 무릎관절증 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95만명으로 이 중 남성이 89만3000명인데 반해 여성은 205만80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 ‘무릎관절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총 진료인원은 2015년 262만1000명에서 2019년 295만1000명으로 12.6%(33만명)가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3.0%로 조사됐다.

남성은 2015년 75만5000명에서 2019년 89만3000명으로 18.2%(13만8000명) 증가했으며, 여성은 2015년 186만6000명에서 2019년 205만8000명으로 10.3%(19만2000명) 늘어났다.

2019년 기준 ‘무릎관절증’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95만명) 중 60대가 33.0%(97만2000명)로 가장 많았고 70대 27.2%(80만3000명), 50대 19.8%(58만5000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30대까지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남성의 경우 60대 31.6%, 70대 25.6%, 50대 20.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3.5%로 가장 높았고, 70대 및 50대가 각각 27.9%, 19.6%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박상훈 교수는 무릎관절증이 60대 환자에게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퇴행성 변화로 발생하는 일차성 무릎관절증이 가장 흔하며, 이는 50대 이후 점차 발생하기 시작해 연령대가 높아짐에 따라 그 비율은 높아진다”면서 “다만, 70대 및 80대 이상의 경우 인구 감소로 인해(사망 등의 이유) 인구 분포상 60대가 가장 많고, 퇴행성 변화에 따른 무릎관절증의 비율은 고령화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인구 10만 명당 ‘무릎관절증’ 질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5742명으로 2015년 5191명 대비 10.6% 증가했으며, 남성은 2015년 2976명에서 2019년 3,462명으로 16.3%의 증가율을 보였고, 여성은 2015년 7430명에서 2019년 8040명으로 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