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데이터·의료 인공지능(AI) 활용 활성화를 위해 현존하는 규제와 장애요인을 해소하고 산업계·일반 국민이 참여하고 공감하는 정책방향 설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정부는 ‘보건의료 데이터·인공지능 혁신전략’을 수립중에 있으며, 지난달 26일 개최된 헬스케어 미래포럼에서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데이터 빅뱅시대, 보건의료 데이터 및 의료 인공지능(AI) 활용 혁신 방향 모색’을 주제로 개최된 제8회 헬스케어 미래포럼에서 각계 전문가들은 보건의료 데이터·AI 활용의 장애요인과 활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먼저, 공공데이터의 효율적·효과적 개방·활용을 위해서는 자료보유기관 등 관련 조직의 관리·운영 체계를 개편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있었다. 또한 현장 여건을 고려한 제도의 보완과 함께 현장을 잘 아는 전문가 양성을 통해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유통·활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데이터의 실질적 활용을 위한 표준화 방향 설정의 필요성과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방안도 언급됐다.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해 데이터 수집 과정의 투명성, 비식별화 과정의 엄밀성 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데이터의 오류 보고·수정이 지속될 수 있는 플랫폼과 인센티브 체계 구축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한편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의 경우 여전히 데이터에 접근하기 어렵다는 점에 대한 산업계의 지적이 있었으며, 연구목적이나 저(低)수준의 데이터를 양산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계에서 실제로 필요로 하는 양질의 데이터 생산을 위한 정부의 정책과 투자 필요성이 강조됐다.

향후 보건의료 데이터 및 의료 AI 활용을 위해 일반 국민과 환자가 참여할 수 있는 채널 마련과 교육·홍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고, 데이터 소유권에 대한 논의와 데이터 활용의 이익이 일반국민·환자에게 귀속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도 논의됐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