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중증외상환자는 연간 3만여명이 발생하고 있으며, 5명 중 1명은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제1차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를 통해 2018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중증외상 현황을 2일에 발표했다. 중증외상은 운수사고, 추락․미끄러짐 등으로 인한 외상 환자 중에서 저혈압, 의식저하, 호흡이상 상태를 보였거나 소방청 병원전단계 중증외상 선별기준에 근거해 구급대원이 중증외상으로 판단한 경우이다.

질병관리청은 2019년부터 전년도(2018년)에 119구급대가 이송한 중증외상환자 대상의 조사를 도입해 국가 및 시․도 단위의 중증외상 통계를 생산했다.

2018년 중증외상환자는 총 3만2237명(인구 10만 명당 62.8명)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자(2만2148명, 68.7%)가 여자(1만84명, 31.3%)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50대(5924명, 18.4%)에서 가장 많았다.

시․도별로는 서울 6488명, 경기 5578명으로 중증외상환자가 다수 발생했으나 인구 10만 명당 수는 충북 127.4명, 대전 115.7명, 강원 102.6명 순이었다.

중증외상환자 3만2237명 중 3만34명(93%)에 대해서는 이송된 병원(전원병원 포함)을 방문해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중증외상은 운수사고(46.7%)와 추락 및 낙상(40.3%)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고 발생 장소는 도로(43.4%), 집(17.0%) 등이었다.

응급실로 이송된 중증외상환자 중 18.4%가 사망했으며, 생존자 4명 중 1명은 중등도 이상의 장애가 남았다.

‘제1차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결과발표회’는 비대면 행사로 개최하고, 외상 및 응급의학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중증외상 장애율 저감 및 조사체계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대한응급의학회 허탁 이사장은 “중증외상은 경제 활동 가능 인구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 조사체계가 마련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발생, 구급 대응, 응급실 및 병원 치료, 치료 후 결과까지의 기초자료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대한외상학회 이영호 이사장은 “중증외상의 치료 결과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돼 왔지만, 국가나 지역사회 단위로 발생 현황과 역학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알 수 있는 통계가 부족했었다”면서,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가 치료결과를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가 지속적으로 실시돼 지역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의 위험요인과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예방관리 대책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