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내년도 R&D 예산을 올해 24조2000억원 보다 12.3% 증액한 27조2000억원으로 편성했다. 이로써 R&D 예산 증가율은 2020년 18.0%, 2021년 12.3%로 2년 연속 두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했다.

확대된 R&D 예산은 신약과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및 백신개발 등에 1조9000억원이 투입되는 등 한국판 뉴딜, 감염병, 소부장, BIG3, 기초 원천R&D, 인재양성의 6개 분야에 13조2000억원 투자될 계획이다.

6개 분야에는 ‘선택과 집중’을 위해 주요 R&D 예산의 70% 수준이 집중되고, 2020년 보다 20.1% 확대 편성된다.

바이오헬스,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등 이른바 BIG3에는 2조3000억원을 지원한다.

바이오헬스에는 1조7000억원이 투입돼 신약과 의료기기 산업 고도화 미 지원 생태계가 조성된다.

신약·의료기기 개발의 주요 단계별 장벽 해소를 위해 범부처협업R&D 중심으로 全주기적 지원(기술개발→임상‧실증→제품화)된다.

특히 바이오헬스 산업의 특성을 고려,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인력양성·규제과학·데이터 등에 투자가 강화된다.

코로나19 대유행 지속 및 변종 가능성 등 감안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 해법인 치료제·백신개발 투자를 강화하고, 후보물질 발굴부터 효능·독성평가 등 영장류를 활용한 비임상, 유효성·안전성 검증 위한 임상 1~3상까지 全주기 지원(+1,707억원)할 방침이다.

또한 감염병 연구 및 치료제·백신 개발에 필요한 BL3를 포함한 생물안전연구시설 증설 등 R&D 연구 인프라 확충(+425억원) 하고, 대학·민간에서 비용 등 문제로 자체 구축이 어려운 점을 감안해 연구자들에게 오픈랩(Open-lab)방식으로 인프라 공유·개방한다.

항바이러스 약물 분석·평가, 유전체 데이터 분석 등을 위한 표준실험실, 질본내 ‘국립 감염병 연구소’ 실험장비 등을 지원한다.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기초역량 확보를 위해 인체, 가축, 야생동물 등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바이러스 공통기전 등 기초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바이러스기초연구소’ 신설에도 추가 지원이 이뤄지며, 방역물품 및 체외진단기기 등에 고도화 실증지원 및 성능개량 투자(+262억원)도 병행해 핵심기술 고도화 및 국산화를 지원한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