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신경과 홍지만, 응급의학과 이성은 교수

만일 가족 중 누군가 혹은 바로 옆에 있던 사람이 뇌졸중이 의심되는 증상을 보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에 대한 답을 주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아주대병원 신경과 홍지만·응급의학과 이성은 교수팀은 눈이 한쪽으로 쏠리는 안구편위, 걸을 수 없는 편마비, 언어장애 중 어느 한 가지라도 해당되는 경우에는 바로 119로 신고하고, 바로 막힌 뇌혈관을 뚫는 응급 혈관재개통술이 가능한 큰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4년간 뇌졸중 의심 증상으로 아주대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총 1599명의 환자의 △임상정보(Clinical Information) △생체징후(Vitial Signs, 혈압·맥박·체온·호흡수) △초기 혈액검사 소견(Initial Labs)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1.2.3단계로 뇌졸중 아형을 분류하는 선별시스템을 개발했다. 뇌졸중 선별시스템은 뇌졸중에서도 중증 뇌졸중을 의사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고 빠르게 선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번에 개발된 선별시스템은 1.2.3단계로, 1단계는 뇌졸중인지 아닌지, 2단계는 뇌졸중이 맞다면 출혈성인지 허혈성인지, 3단계는 허혈성에서 급하게 혈관재개통술이 필요한 급성대형동맥폐색인지를 단계별로 분류한다.

1단계는 △연령대가 젊고(40대 이하) △뇌졸중 위험인자(심장질환, 발작 혹은 정신과적 병력, 혈당 등)가 없고 △편마비가 없고 △초기 혈압이 낮은 경우로, 이 경우 뇌졸중이 의심됐지만 실제 뇌졸중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

2단계는 △의식저하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60세 미만) △높은 초기 혈압 △뇌졸중 위험인자(심장질환, 당뇨 등)가 적은 경우로, 이 경우 출혈성(뇌출혈)일 가능성이 높았다.

3단계는 △안구편위(눈이 좌-우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 △걸을 수 없는 편마비 △언어장애가 동반된 경우로, 신속히 응급혈관재개통술을 통해 막힌 뇌혈관을 뚫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3단계에서 응급 혈전제거술이 필요한 급성대형동맥폐색일 가능성이 눈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있으면 약 21.7배, 팔 마비가 있는 경우 약 2.2배, 언어장애가 있을시 2.4배 높아졌다.

이번 1.2.3단계 분류는 특히나 1분 1초가 급박한 상황이 많은 뇌졸중 환자에서 시간이 다소 소요되는 CT, MRI 등의 영상검사 전 눈으로 보이는 신체적 증상과 환자 및 보호자를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는 병력, 생체징후, 기초검사 등을 통해 뇌졸중의 유형을 빠르게 선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누구나 꼭 알아두면 좋다.

연구를 주관한 홍지만 교수는 “이번 선별시스템은 특히 치료에 민감한 3번째 단계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 3단계를 신속하게 선별하지 못해 치료시기가 늦춰진다면 사망에 이르거나 살아남더라도 평생 장애를 안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119교육을 담당하고 있고 본 연구의 1저자인 이성은 교수는 “중증 뇌졸중의 경우 본인이 의사표현을 하거나 거동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의사가 판단하기 전에 바로 옆에 있는 누군가의 신속한 선별이 필요한 만큼 이에 대한 범국민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홍지만 교수는 누구나 쉽게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이웃·손·발·시선’이라는 한글표어를 기억해야한다고 말한다. '이~ 하고 웃어 보세요' '양손을 들어 보세요' '발음이나 언어장애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시선이 한쪽으로 쏠리는지 확인하세요’로 중증 뇌졸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이번에 구축한 뇌졸중 선별시스템은 뇌졸중 여부와 치료 단계별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전 세계적으로 뇌졸중의 치료 골든타임을 잡기 위해 선별시스템을 개발해 왔으나, 복잡하거나 유형을 분류하지 못해 의료현장에서 사용에 제한이 많았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4월 15일 SCI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임상 정보, 활력징후 및 초기 실험실을 통한 단계별 뇌졸중 인식 : 전자 건강 기록 기반 관찰 코호트 연구  (Stepwise stroke recognition through clinical information, vital signs, and initial labs (CIVIL): Electronic health record-based observational cohort study)’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